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함께 공부하는 이상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공부하는 이상열 전문가입니다.

이상열 전문가
전, 시중은행 지점장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은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은 2024년 9월 기준으로 약 378조 5,424억 원입니다.이는 코스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이지만, 코스닥은 주로 중소기업과 신생 기업들이 상장되어 활발한 성장을 보이는 시장입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유리 에스컬레이터(glass escaltor)’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유리 에스컬레이터(glass escalator)"는 직장에서 특정 성별이나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승진하거나 더 높은 직책으로 진출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주를 이루는 직업군(간호, 초등 교육, 사회복지 등)에 남성이 진입했을 때, 이들이 빠르게 승진하거나 관리자 직책으로 올라가는 경향을 가리킵니다.이 용어는 성별에 따른 직장 내 불평등을 설명하는데, 남성은 여성 중심의 직업에서도 "유리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승진하는 반면, 여성은 전통적으로 남성들이 주를 이루는 분야에서 "유리 천장"에 부딪혀 승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비교를 이룹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은행의 BIS비율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BIS 비율(Basel Capital Adequacy Ratio)은 국제결제은행(BIS)에서 정한 은행의 자본 적정성 비율을 말합니다.이 비율은 은행이 보유한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BIS 비율은 국제결제은행의 바젤위원회에서 제정한 은행 규제 지침(바젤 I, II, III)에 따라 정의되며, 각 국가는 이 기준을 준수하여 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도록 요구합니다.일반적으로 8% 이상을 권장하며, 한국에서는 은행들에게 10% 이상 유지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유동성자산이라는것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유동성 자산이란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을 의미합니다.즉, 가치의 손실 없이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유동성이 높다는 것은 해당 자산이 쉽게 거래되고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는 뜻입니다.대표적 유동성 자산으로는, 현금, 예금, 단기 금융상품, 주식 등이 있습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스트레스 금리 시행방식에 따른 대출한도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 금리 적용 비율이 25%에서 50%로 증가한다는 것은, 대출 심사 시 금리 상승 리스크를 더 크게 반영한다는 의미입니다.스트레스 금리란, 대출을 받을 때 향후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해 대출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 금리입니다.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대비하는 역할을 하죠.기존에는 대출 심사 시 25%의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했다면, 금리가 예를 들어 3%일 경우 3% + 25%의 금리 상승을 가정하여 3.75%로 상환 능력을 평가했습니다.하지만 새로운 규정에서는 50%가 적용되므로 3% + 50%의 금리 상승을 가정하여 4.5%로 상환 능력을 평가하게 됩니다.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