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고생대시절 딱딱한 갑각류를 가진 생물이 대다수인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고생대에 딱딱한 외골격을 가진 생물이 많았던 이유는 당시 산소가 풍부했고더 빠른진화와 몸집을 키우는 활동이 많아졌기때문입니다.이 과정에서 각 동물들은 서로 포식자가되며방어를해야할 과정이 많았기때문에방어적인 신체구조를 만들어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지구생명은 언제부터 유성생식을 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유성생식이라는 방법은 약 10억년전에 처음 등장했고,성이라는 개념이 생김에따라 유전적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특히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되는과정에서는 돌연변이 발생확률이높기때문에 더 다양한 생물이 만들어질 확률이 올라간셈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진화에 있어서 생물 멸종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의 극적인 환경변화는 언제든지 일어날 가능성이있어이 모든 환경을 버티는 생물이 많을수록지구상에 생물이 끊이지않고 존재할 수 있게됩니다.대멸종이 진행될때마다 더 극한환경에서살아남는 동물들이 주인이되어 살아갈 수 있도록기존 살아남지못한만한 주류 동물들이모두 죽는과정이 필요합니다.즉, 생태적인 기회를 제공받는셈입니다.실제로 공룡이살던시대에서는작은포유류의 조상들이 공룡을피해밤에활동하고 굴같은곳에 숨어살았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뇌자도는 정확히 어떤걸 측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뇌자도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활동에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측정하는것입니다.뇌자도는 뇌파와다르게 자기장의 영향도를 측정하는것이기때문에무선으로 센싱이 가능하고, 자기장측정기를 머리바깥에두고측정이 이루어집니다.반면 뇌파는 전기적신호를 직접읽어야해서전극을 뇌에 꼽고 측정하는것이 비교적 정확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석탄기나 페름기 나무가 썩지 않으면서 이들이땅속에 묻히며 어떤 형태로 변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이 시기의 나무들이썩지않고 그대로 묻혀서지구의 지질활동에의해 열과압력을 받아 석탄층을 만들었다고합니다.현재 이 석탄들이 지금 우리가 채굴해서 사용하는중요한 자원으로 활동중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게코도마뱀 색깔이 변하기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게코 도마뱀도 색깔이 변한다고합니다.주로 밤과 낮 환경에따라 색을 조절하는데, 밤에는온도가낮고 빛이 부족해서 색이 더 진해지고,낮에는 밝아지고 옅어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동물들이 계절을 감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계절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가장 쉬운방법은온도와 습도입니다.기온을 느끼는 감각세포를 발달시키고,습도역시 주변 환경으로부터 물을 얻을수있는정도등을통해 파학이 가능합니다.두번째방법으로 햇빛의 각도나해가 떠있는시간등으로 판단한다고합니다.하루의 해가 짧아지면 겨울에대한 대비를하기 시작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플랑크톤은 모든 바다에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플랑크톤은 거의 모든수역에서 발견된다고합니다.바닷물에서는 100퍼센트 존재하고,동물성과 식물성으로 나눱니다.식물성 플랑크톤의경우 광합성을 해야하기때문에거의 바다 표층수부근에 몰려있습니다.동물성 플랑크톤이 거의 모든수역에 존재하며다른 물고기들의 먹이원이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위산은 위에서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위산은 우리 장내에 존재하는 벽세포라는 세포에의해 만들어진 염산이 포함되어있습니다.벽세포는 수소이운올 만들어 분비하기때문에 산성도를 매우 강하게 높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심장은 어떻게 쉬지 않고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심장세포는 자율적으로 박동성을 갖는 특이한 세포입니다.유전적으로 스스로 전기신호를 만들어내고수축과 이완작용을 수행하도록 세포하나하나가 설정되어있습니다.영양분공급과 면역체계만 잘 작동한다면심장은 계속해서 뛸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