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침대에서 벌견한 벌레 관련된거같은데 이게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진으로보면 씨앗보다는 곤충의 번데기같은데, 크기가 약 2~3cm정도라면 바퀴벌레, 나방류, 딱정벌레같은 곤충의 번데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딱딱해보이기때문에유충에서 성충으로 변하는 중간단계의 번데기처럼보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동물세포에서 지방산의 베타 산화는 어떤 상황에서 일어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동물세포에서 지방산의 베타산화는 포도당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에너지 수요가 커서,혈당만으로는 ATP가 충분하지않을때 주로 활성화되게됩니다.장시간의 금식이나, 격렬한 운동, 저탄수화물상태에서 간과 근육이 저장 지방을 분해해서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로 보내고 베타산화를통해 아세틸코에이를만들어서 TCA회로와 전자전달계에서 ATP를 생산하게만듭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동물 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 기술의 최근 발전 사례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오간 온어 칩과 오가노이드의 활용이 증가되고,컴퓨터기반의 예측모델과 AI의 활용확대 등이 일어나고있습니다.예를들어 오가노이드는 혈관구조와 심장 박동을 갖춘 심장 오가노이드를 개발하여약물테스트와 환자 맞춤형 평가도구로 잠재력을 가지고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대장용종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대장 선종은 생활습관과 개인별 유전적 특성, 장점막의 개별적인 감수성 등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예를들어서 DNA 수선유전자의 변이감지감도 차이,미세한 염증반응의 차이, 장내 미생물 구성 차이만으로도선종여부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GPCR이 유전체 발현의 촉진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GPCR도 가능한데, GPCR은 G단백질을 통해서 CREB전사인자 활성, MAPK경로활성또는 베타어레스틴 매개신호를 통해서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게됩니다.예를들어서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는 CREB경로를통해 대사, 분열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사례로 잘 알려져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활성산소가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활성산소는 전자가 불안정한 라디칼 형태이기때문에 DNA 염기 산화나 절단, 단백질 산화에의한 효소의 불활성화지질의 과산화 등등 막손상을 일으킵니다.이러한 분자적인 손상이 축적되게되면 세포의 신호교란이나돌연변이, 세포사멸, 암발생, 노화 등등이 촉진되기때문에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다각도로 주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얀핀셴의 실험에서 요소와 DTT에 처리 순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얀핀센의 리보뉴클레이즈 실험에서 요소는 비공유적 상호작용을 파괴해서 단백질을 풀어내고DTT는 이황화결합을 환원시킵니다.요소를 DTT로 처리하면 먼저 3차구조가 풀린상태에서 이황화결합이 끊기기 때문에잘못된구조에서 틀이 남지않고, 요소 제거 후 자연스럽게 올바른 접힘이 일어나서 기능회복이가능합니다.반대로 DTT, 요소 순서로하게되면 단백질이 여전히부분적으로 접혀있는 상태에서 이황화결합이 무작위로 끊기게되기때문에잘못된 재결합이 고정되어버려서 비가역적인 변성이 일어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앵무새는 아이큐가 얼마나 좋길래 사람의 말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앰우새는 시린스크라는 발성기관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소리를 모방할수있습니다.회색앵무의경우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 수나 색깔, 형태등을 구분하고 질문에맞는단어를 대답하는 사례가 보고되고있어 실제로 높은 인지능력을 갖고있다고 평가되고있습니다.이외에도 구관조나 까마귀류 등이 사람말을 비슷하게 흉내낼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노화 세포와 암세포의 분열 기전을 이용한 실험사례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험적으로는 p53이나 Rb의 억제, 야마니카 인자에 의한 부분 재프로그램으로노화세포의 세포주기 재진입 및 노화표지 감소가 보고되고있다고합니다.안정성이나 지속성에대한 근거가 제한적이기때문에 생물안전 윤리 심의라는제약이 따르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메뚜기가 점프를 높이 할수 있는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메뚜기는 자기 몸 크기에비해서 높이 점프할 수 있는 이유가 있는데,다리근육만으로 힘을쓰는것이 아니라다리 관절에있는 반동성 단백질인 레실린을 이용합니다.이곳에 에너지를 저장해두었다가 순간적으로 방출하기때문에높이 뛸수있고,용수철처럼 힘을 모았다가 한번에 풀어내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