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 편집 기술은 무엇이고, 어떤 윤리적 문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유전자 편집기술은 유전자의 특정부위를 잘라내거나 이어붙일수있는 효소를 활용합니다.이 효소를통해 질병의 개선이나 품종개량등이 이루어집니다.이러한 기술들이 남용되고 유전자변형을 일으킨 생물체가자연속으로 들어가면 생태계를 파괴할위험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술을 마셨을 때 알코올 흡수율이 어느 정도 되나요? 10도 짜리 1리터를 마시면 대부분 다 흡수된다고 보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알코올흡수율은 90%가 넘어가기때문에상당히 많이 흡수된다고 볼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밤에 열이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밤에는 주변소리도 거의들리지않고 안정된상태이기때문에열감이 더 잘 느껴집니다.즉, 주변감각이 조용해지면서 열감이 증가하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경우 유전 형질을 엄마 아빠 중 누구한테 더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는 아버지와 어머니에게서 절반씩 물려받습니다.물론 특이적으로 6:4 나 :7ㅣ3정도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전체인구를 통틀어서 통계적으로 봤을떄도 거의 5:5에 근접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번 비행기사고를 고려해서 조류에 대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실 공항에서는 버드스트라이크를 최대한 방지하기위해조류를 항상 쫒아야합니다.아무리 쫒아도 계속 발생하는정도라면애초에 공항이 있으면 안되는 지역일 수 있으므로공항을 폐쇄하는것이 맞겠습니다.공항과 가까운곳에 조류들이 머물수있는 서식지를마련하거나 보전하는 방법도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편평사마귀 등으로 인한 피부질환으로 여드름이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편평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에의한 양성피부질환이고, 여드름의 직접적인 원인과는 거리가 멉니다.비립종은 여드름처럼 동일하게 모공이 막히면서 발생할 수는 있지만,비립종이 여드름으로 변화된다던가 하는것은 일어나지 않는다고합니다.여드름은 보통 피지선을 막는 화장품을 쓰거나스트레스로 인해 피지분비량이 많아지며 발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픈 사람이 없는 세상이 된다면 좋을텐데, 어려운거겠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현재 이러한 질병에대한 극복을 하기위해 많은연구자들이 달려들고이습니다.최근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되며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유전병의 메커니즘들의 실마리를 풀어냈고불치병완치 시대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또한 암과같은 돌연변이 질병에대해서도 극복할 가능성을 높이고있습니다.외상에대한부분은,결손부위에대한 인공 의료기기 장착등으로 해결을 꾀하기도합니다.최근에는 로봇을 접목해 더 간편하고 편리한 의족이나 의수를 붙이기도합니다.이처럼 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면으로 고통에대한 해결의지를 보이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세포 생명체가 단세포 생명체에서 진화한 구체적인 과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단세포 생물이 다세포생물이 되기위한 과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첫번째로 단세포생물들끼리 서로 상호작용성이 늘어나야합니다.화학적 전달물질등을 교환하며 서로를 인지하고 정보를 교류해야합니다.두번쨰로 세포와세포사이 붙잡아줄 수 있는 매개체가 있거나결합가지를 만들어야합니다. 이를통해다세포로써 활동가능한 군집을 이룰 수 있습니다.세번째로 상호의존성이 늘어나야합니다.특히, 다세포상태로있다가 서로 떨어지면혼자서는 생명활동을 할 수 없을 수준까지 상호협력성이 늘어나야합니다.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다세포 생물로써 하나의개체를 이루며살아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가지부분만 꺽어서 다시 심을 수 있는 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나무로 단풍나무가 있습니다.해당 방법을 꺾꽂이라고도 하는데,보통 나뭇가지를 꺾어서 바로심지는않고단면에 발근제를 바른 뒤 모종으로 어느정도 키운다음흙으로 옮겨서 심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진속의 나무는 소나무같은데, 보통 소나무와는 완전 다르네요. 혹시 외래종인가요? 아니면 이름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보통 겨울에도 푸른잎을 유지하면서 위로 곧고 길게 잘 자라는 나무는삼나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삼나무는 사진처럼 곧고 길게자라기때문에가로수로 적합한 식물이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