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세라와기관충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은장도를 지니고 있었다고 합니다. 호신용으로 있었죠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은장도는 원래 고려시대에 시작돼 조선시대에 보편화된 칼을 차는 풍습에서 비롯된 수많은 종류의 도(刀)중 한 종류입니다.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여성의 정절을 지키기 위한 목적이라기보다는 장식구로 패용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고려의 왕릉 중에 현재 휴전선 이남 지역에 남아 있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남한에 남아있는 고려왕릉은 여몽전쟁 시기나 고려가 멸망한 후에 공양왕릉등이 조성되었기에 북한에 남아 있는 고려왕릉에 비해 초라합니다.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을 포함하여 경기도 고양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 위치한 공양왕릉이 고려 왕릉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에 위치합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백두산 정계비는 어떤 내용이 실려 있던 거였습니까.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백두산 정계비의의 주 내용은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이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 설정되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 비석은 국경의 위치를 확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양국 간의 경계 분쟁을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세워졌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옛적에 하이힐이 개발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하이힐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들이 존재합니다.질문자님 말처럼 중세 유럽에서는 하수처리 시설이 정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길거리에 똥같은 오물들을 아무렇지 않게 버렸고 이를 밟지않기 위해 하이힐이 생겨났다는 설도 존재합니다.이와는 달리 고대 이집트에서 도축사가 바닥에 질퍽거리는 피를 밟지 않기 위해 굽이 높은 신발을 신고 다닌 것이 하이힐의 원형이라는 말도 있습니다.또한 페르시아의 기병들이 말을 타고 다니기 위해 하이힐을 사용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 힐은 기수의 발을 등자에 단단히 고정시켜, 말 위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서있을 수 있도록하는 실용적 목적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무궁화를 국화로서 지정한건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법적으로 인정된 공식 국화는 아니지만 애국가에 나오는 가사에 의하여 무궁화가 국화로 인식되어 있습니다.다만 국회에서 무궁화를 국화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으며 국민 정서상으로도 무궁화는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