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서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서현 전문가입니다.
이서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2년 9월 11일 작성 됨
Q.
임신한 상태에서 태아도 잠을 자나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태아는 90% 이상 수면 상태로 있다고합니다 그렇다고 밥낮을 구분하여 자는 개념은 아니기에 출산후 밤낮을 구분하여 잘수있도럭 수면교육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유아교육
2022년 9월 8일 작성 됨
Q.
우리아이가 언어가 느려요 말 트이게 할수 잇는방법 잇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벙에서 아이에게 언어적 자극을 많아 해 주셔야 해요. 이거 먹을래? 등의 대명사보다는 사과 먹을래? 등으로 사물을 명명해주시구요. 이해하는 어휘가 많아야 표현어휘가 더 빨리 늘수있어요.
양육·훈육
2022년 9월 8일 작성 됨
Q.
인사가 어려운 아이.. 올바르게 성장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동물인형으로 엄마토까, 기린 아줌마. 염소 할아버지 등으로 놀이를 하며 인사를 하고 아이가 인사를 하면 "(아주머니 목소리 , 할머니 목소리 등으로)" 인사를 잘 하는 멋진아이구나 하하하" 이렇게 칭찬을 해주며 아이가 좋아하는 젤리등으로 강화물을 제공해 보셔요. 인사가 상대방도 기분좋고 칭찬 벋는 일이구나 하고 경험할수 있을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우리 손녀가 왜이렇게 안잘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수면 습관은 어른 들이 만들어 줘야 합니다. 어른들이 아이가 수면 습관이 만들어질때까지 같이자면서 만들어줘 보세요. 아이가 일어날때까지 주변 환경도 조용하고 약간 어둡개 조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혹사 어린이 집에서 낮잠을 갈게 재운다면 집에서 재울수 있도록 어린이집에 부탁드려보세요
양육·훈육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아이의 자존감을 높일수 있는 방법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방법은 성공 경험을 많이 하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쉽게 할 수 있는 과제를 내 준뒤 성공하면 크게 칭찬 하는 거얘요. 그리고 성공하면 스티커 등으로 토큰 강화를 해줌으로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더 좋겠죠^^
양육·훈육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머리감기를 싫어하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아하게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어기인형을 데리고 함께 머라 감기 놀이를 하고 엄마와 목욕하면서 엄마머리 감겨줘~~ 라고 하는 등 놀이 처럼 접근하여 **이도 하자 라고 하며 놀이 처럼 접근해 보세요. 의사소통이 되는 아이라면 왜 감기 싫어하는 지 물어보고 어떻개해 주면 좋겠는지 요구도 들어봐주면서 개선해 나가면 될것 같아요
놀이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아이 말이 빨리 트이게 하는 방법 잇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양육자인 엄마와 상호작용을 많아 하면 좋아요. 특히 아이가 필요한 건 스스로 말로 요구할 수있는 기회를 주세요. 아이가 요구하기전에 엄마가 미리 다해주면 아이는 말할 필요성이 없어요 에을 들어 밥을 먹다가 물을 찾는 모습이 보일때 아이에게 물을 가져다 주지 않고 기다려 보세요 "물 또는 물주세요" 라고 말할 수 있어요. 생활 속에서 이렇게 아이가 요구 표현을 하도록 한다면 아~ 내가 말을 하니 엄마가 또는 사람이 뭘쥬네라고 생각하고 말을 도구로 사용하여 언어가 늘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 어떤 훈계. 방법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중이 어렵다면 단계적으로 집중을 형상 시키는 게 젛을 것 같아요. 처음엔 양육자와 젠가등의 게임을 하면서 집중을 시키고요 이후엔 책상에 앉아 색칠하기나 미술활동 만들기 등으로 책상에 앉아 집중을 유도해 보세요. 이렇게 집중이 된다면 짧은 과제를 하나씩 하게하고 완성하면 토큰강화를 하면서 집중력을 높혀 가보세요
놀이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자주 아이가 물건을 던져요 아직 말은 못하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타이밍을 보면 시작 단계나 소가 단계가 있을 거예요. 예를 들어 심심해서 던졌는데 엄마가 반응하니 엄마랑 놀고 싶어 놀이처럼 더 던질 수 있구요. 다른 면으로는 의사소통이 잘안되서 답답한 마음에 물건을 던지는 문재행동이 나타날 수있어요. 양육자가 아이가 왜 던지는지 . 언제 그 행동이 소거가 되는지 질 관찰해보면 답이 나올꺼예요
유아교육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은 언제부터 보내는게 적절한 시기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서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란이집은 0 세 반부터 있지만 아이가 엄마와 떨어질 준비가 되어야 가능 해요. 그라고 언어 발달이 늦은 경우라면 어린이집 적응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았어요. 다문화 가정이면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언어치료를받고 언어적 의사소텅을 할 수 이도록 지원해주는 것도 좋을 것 깉아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