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학 용어 중에 공공재는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용어를 아시고 싶으실때는 그의 반대되는 개념을 알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이 경우는 공공재의 반대가 사적재입니다.느낌상 아시겠지만 공공재는 공익을 사적재는 사익을 추구하는것으로 판단해도 무방합니다.공공재를 더 자세히 알아보면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재화 및 서비스를 말합니다.예를 들면 경찰, 국방, 소방, 공원시설등이 있습니다. 이런 재화 및 서비스는 대가 없이 누구나 경쟁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서비스를 이용해도 소모가 되지 않고 누군가가 이용을 못하거나 영향도 끼치지 않기 때문에 공공재라고 하죠!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Q. 노동시장이 유연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다른말로 노동시장 신축성이라고도 합니다.노동력 시장이 사회 및 경제의 변화에 맞춰 변화하는 정도를 말하는데요!경제학적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 인적자원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분 및 재배분되는 노동시장의 능력을 지칭합니다.이를 다섯 유형으로 나눌수 있습니다.1. 내부적 수량적 유연성 : 고용관계 유지한 상태 + 수량적인 유연성 확보(파트타임 근무, 탄력시간근무제)2. 외부적 수량적 유연성 : 고용관계 단절함으로 수량적인 유연성 확보3. 외부화 : 파견근로, 하도급계약을 생각하시면 됩니다.4. 기능적 유연성 : 직종의 수요에 따라 배치 전환 및 이동으로 유연성을 확보5. 임금유연성 : 성과에 따른 임금 지불 + 유연성 확보
Q. 중위소득은 무엇을 말하는건지 그리고 50프로 70프로라고 하는건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위소득에대해서 물어보셨네요!일단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값입니다. 평균값과 중위값은 다른데요! 평균값은 전체가구/가구수이지만 중위값은 순위를 나열했을때 중간값이죠!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값보다는 정확도가 높다고 봐야하죠!그래서 정확한 평균값을 구하려면 상위, 하위 몇프로씩 빼고 계산하는것도 여기서 나옵니다.일단 중위값은 순위 나열시 중간값이라고 했는데 이는 정부 복지 지원사업이나 기초생활 수급자, 정부지원금씨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매년 08월 01일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이 다양한 복지제도 및 수급자 기준을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게됩니다.일단 23년도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1인 : 2,077,8922인 : 3,456,1553인 : 4,434,8164인 : 5,400,9645인 : 6,330,6886인 : 7,227,9817인 : 8,107,515이 값은 22년도에 비해 23년도에 5.47% 인상된 금액이구요! 기준중위소득 100%라고 부릅니다.정부에서 지원금을 지급할때도 기준중위소득 50%이면 금액이 저 기준값보다 낮은것이고, 150%이면 금액이 기준값보다 높은것입니다.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Q. 경제학 용어 중에 맬서스 함정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생산성 증가 속도가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소득이 정체되고, 항구적으로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를 맬서스 함정이라고 합니다.맬서스는 인간의 강한 성욕 때문에 인구 증가를 막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인구는 25년마다 두 배 증가하는 반면, 식량 생산은 천천히 증가해파국을 맞는다고 평하였습니다.식량이 늘면 인구가 늘어 노동력이 증가하지만, 곧 인구 포화로 임금이 떨어지고 식량이 비싸집니다. 임금이 싸지면 지주들은 농업 노동자를 더 고용하게 되어 다시 식량이 늘지만, '먹는 입'이 더 빨리 늘어 또 식량 부족에 직면하게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이런 악순환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것을 '맬서스 함정'이라고 합니다.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