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디폴트옵션 제도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은 '사전 지정 운용제도'라고도 합니다. 퇴직연금은 가입자의 지시에 따라서 각기 다른 상품으로 운용이 가능합니다. 이 제도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는 의무로 도입이 되고, IRP에는 선택적으로 적용이 됩니다.기존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서는 가입자가 퇴직연금 가입 시 상품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정한 상품으로 운용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상품으로 운용이 되다가 그 상품의 만기가 도래하면, 가입자의 별도의 지시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동일한 상품으로 재예치되어 운용이 되었습니다.퇴직연금 상품은 일반적으로 원리금 보장형 상품으로 운용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퇴직연금 시장이 300조 가까이 되는데 이 중에서 약 86%가 원리금 보장형 상품으로 운용이 되었다고 합니다. 원리금 보장형 상품의 수익률은 평균 1% 초반이었으니, 요즘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사실상 원금 보존도 안되는 상황인 것입니다.디폴트 옵션을 도입하는 배경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퇴직연금에 대한 가입자들의 관심을 제고시켜, 퇴직연금 자산의 수익률을 높여서 실질적으로 노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Q. 경제 용어 중에 노동소득분배율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노동소득분배율 ->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피용자 보수)이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서 국민들이 생산활동에 기여한 대가인 소득은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제공한 경제주체에게 분배된다. 여기서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급여를 피용자 보수, 생산활동을 주관한 생산주체의 몫을 영업잉여라고 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은 피용자 보수를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인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즉, 노동소득분배율 = (피용자 보수 + 국외 순수취 피용자 보수)/국민소득×100이다. 노동의 가격이 자본의 가격보다 높을수록, 한 나라의 산업이 노동집약적일수록, 전체 취업자 가운데 피용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노동소득분배율은 커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