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에는 BNPL방식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Buy Now Pay Later(BNPL)결제 업체가 소비자를 대신해 먼저 가맹점에 대금 전액을 지불하고, 소비자는 결체 업체에 여러 차례에 걸쳐 대금을 나눠 낼 수 있도록 한 선구매 후지불 서비스이다. 신용카드의 경우 안정된 소득이 있어야 하고 신용등급 제한이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없으며 할부 시에는 할부 이자를 내야 한다. 반면 BNPL은 18세 이상이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에 가입해 이용할 수 있으며, 대금을 분할 납부함에도 할부 이자나 수수료를 내지 않는다. 이 같은 이점으로 미국, 호주 등에서 밀레니얼 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반면, BNPL 업체는 수수료를 통해 이윤을 남긴다. 보통 가맹점으로부터 거래액의 2.5~4% 정도의 수수료를 받으며, 소비자에게 할부 이자나 수수료를 받지는 않지만 할부 대금이 연체될 경우 연체 수수료를 받는다. 한편, BNPL 서비스로는 세계 최대 간편결제 기업인 페이팔의 페이 인 4(Pay in 4), 신용카드 회사 아메리칸익스프레스의 플랜 잇(Plan it) 등이 있다.
Q. 핀테크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Finance(금융) + Technology(기술) = 핀테크(Fin Tech)금융서비스와 디지털 혁신을 이루는 정보기술이 융합된 최근의 금융 혁신 현상을 일컬음‘핀테크’라는 용어는 “금융 서비스 산업의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 새로운 처리 과정, 신상품이나 신산업모델” 등 다양하고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핀테크는 예금·대출·자산관리·결제·송금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IT·모바일 기술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넓은 의미에서 이러한 흐름에 해당하는 모든 서비스를 핀테크라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외에도 관련 소프트웨어나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과 의사 결정, 위험관리, 포트폴리오 재구성, 성과관리, 시스템 통합 등 금융 시스템의 전반을 혁신하는 기술도 핀테크의 일부입니다.
Q. 우리나라 제 1 금융권은 어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제1금융권특수은행 :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농협, 수협, 축협일반은행 :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주식과 코인의 차이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과 코인의 차이1. 주식은 기업의 가치를 담보하면서 실물 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코인은 그렇지 않다.2. 코인은 금융투자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규제나 보호를 받지 않는다.(하지만 점차 법정화되는 과정입니다)1. 주식의 경우, 주가를 높이기 위해선 기업에서 호재가 발생해야 하고, 호재가 발생한다는 것은 새로운 상품을 만들어 내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다는 것으로, 결과적으론 이 호재들이 많아질 수록 실물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코인의 경우엔 주가 형성이 기업의 호재나 악재에 영향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물 경제에 딱히 어떤 도움을 주진 못한다.2. 규제나 보호를 받지 않는다는 차이가 생기는 결정적인 이유는 거래소의 유무이다. 주식은 한국거래소라는 곳에서 거래하며, VI나 사이드카 같은 제도가 존재한다. 또한, 금융감독원 등 여러 기관에서 감독을 받고 있다. 보는 눈이 많다는 뜻! 하지만 코인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규제나 보호를 받지 않지 않지만 점차 법정화 되어가는 과정에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Q. 경제 용어 중에서 치킨 게임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두 명의 경기자들(players) 중 어느 한쪽이 포기하면 다른 쪽이 이득을 보게 되며, 각자의 최적 선택(optimal choice)이 다른 쪽 경기자의 행위에 의존하는 게임을 말합니다.여기서 의존적이라 함은 한쪽이 포기하면 다른 쪽이 포기하지 않으려 하고, 한쪽이 포기하지 않으면 다른 쪽이 포기하려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매와 비둘기 게임(hawk-dove game)’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겁쟁이 게임(coward game)’으로 자주 번역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