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용어에 황금낙하산이라는 용어에 대해 아시는분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수(引受) 대상 기업의 CEO(Chief Executive Officer : 최고경영자)가 인수로 인하여 임기 전에 사임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거액의 퇴직금, 저가(低價)에 의한 주식 매입권(스톡옵션), 일정기간 동안의 보수와 보너스 등을 받을 권리를 사전에 고용 계약에 기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기업의 인수 비용(費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1980년대에 기업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M&A와 관련하여 미국 월가(街)에서 유래한 말로, 비싼 낙하산이라는 뜻에서 생긴 용어이다. 이는 경영자의 신분을 보장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M&A cost(코스트)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적대적 M&A를 방어하는 전략으로 활용됩니다.그러나 이 방법은 적대적 M&A의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경영자를 해임하기가 어려우므로 무능한 경영진에게 과도한 혜택을 부여하는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경영자가 아닌 일반 직원에게 일시에 많은 퇴직금을 지급하도록 규정하여 매수(買受)하는 기업의 매수 의욕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황금낙하산과 구별하여 주석(朱錫) 낙하산(tin parachute)이라고 한다
Q. 경제용어 중 애그플레이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용어입니다.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전체 물가도 영향을 받아 인상되는 현상이죠.예를들어 지구 온난화, 추운 날씨, 가뭄, 홍수로 인해 세계적으로 밀,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경작지가 줄어든 반면 곡물 수요는 계속해 증가합니다.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Q. NFT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자산 가치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FT 는 암호 화폐에서 파생된 토큰입니다.이 NFT는 Non-Fungible Token이라 해서 다른 것과 대체 불가한 이것 자체 만으로 가치를 가지는 토큰입니다.오픈씨(opensea) 라는 세계최대 NFT 작품 거래 사이트이며,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NFT 코인(토큰) 이라고 해서 블록 체인의 암호 화폐 기반에 저작권이 보호되는 디자인작품 (로코, 캐릭터, 그림, 음악, 사진) 등을 등록하고 전 세계인을 상대로 판매하는 것입니다.이제는 암호 화폐 시장이 커지고 있고, NFT 게임과, NFT 디자인 판매하고 구매 하는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그래서 앞으로 크게 성장 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그런데 요즘 시장이 너무 좋지 않아 투자에는 신중하셔야 합니다.
Q. 경제용어 난외거래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난외거래은행의 권리 · 의무가 확정되지 않아 재무상태표상 자산 · 부채로 기록되지 않는 거래를 의미합니다.대표적인 난외 거래로는 신용 대체거래(채무보증), 특정 거래 관련 우발채무(계약이행보증, 입찰보증, 환급보증), 무역금융(신용장), 증권인수보증(NIF; Note Issuance Facility), 금리 및 외환 관련 파생상품거래의 신용리스크 상당액 등을 들 수 있습니다.이러한 난외거래는 보증료 등을 통해 은행의 수익성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리스크 이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거래구조 등으로 인한여 방만하게 취급될 경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감독 당국은 최근 난외거래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으며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도 자기자본 비율 규제시 난외자산을 위험가중자산에 포함시켜 적절한 자기자본을 유지하도록 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