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에 대하여 투자해도 괜찬은건지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로나의 종식이 되지 않고 있고, 우크라이나VS러시아의 지정학적 위험에 따라 현재 원유 및 원재료가격 폭등등의 상황을 맞아 여러 자산가격의 수치가 좋지 못합니다.2022년에는 자산가격시장에 어느정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가상화폐의 대표격인 비트코인은 현재 존재하는 수많은 암호화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신원 미상인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되었습니다.15년이 안되는 역사동안 사실상 가치가 0과 다를바 없었던 비트코인의 최고가격은 약 5만달러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상승가치를 더 높게 보는 시각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기존 화폐와 달리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개입없이 개인간(P2P)의 빠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정부가 원하면 더 찍어낼 수 있는 기성 화폐와는 달리 최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하지만 가치판단의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단기적 투자(단타)보다는 장기적 투자의 마음을 갖고 접근하여야 하며 여유자금으로만 투자하시길 권장드립니다.코인을 공부하시고 싶다면 각 코인들의 백서(a white paper)를 보시면 도움이되며, 가볍게는 업비트와 같은 사이트에서 각 코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은행금리도 낮은데 굳이 예금을 들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금금리가 다른 투자보다 더 낫다라고 얘기하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일뿐 상황에 따라 맞을수도 틀릴수도 있습니다.다만, 예금은 금리가 낮은 만큼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어떠한 위험투자를 실행하는 투자자들도 일정부분의 예금은 필수적으로 예치해놓은 상황이어야 할 것입니다.IBK에서는 예금과 적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예금이란?예금이란 일정 기간을 정해놓고 자신의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을 말하는데, 예금 방법에 따라 보통예금, 당좌예금, 별단예금, 정기예금 등으로 나누어집니다.예금은 일정 금액, 예를 들어 1억 원을 예금한다면, 1억을 한번에 은행에 넣고 정해진 기간 동안 중도에 찾지 않고 두면 만기일에 정해진 이자수익을 얻는 형태입니다. 그럼 예금별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보통예금입출금이 자유롭고, 가입대상이나 예치금액, 예치기간에 제약이 없습니다.- 당좌예금예금자의 요구에 따라 예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언제든지 지급받는 예금입니다.주로 개인이 아닌 기업이 대상이며, 은행이 예금자를 대신해 수표나 어음으로 입출금을 대행해주어 예금자의 비용과 노력을 절약시켜주는 예금으로 이자나 저축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자금의 보관과 지급위탁이 주목적입니다. - 정기예금예금자가 일정 기간을 정하여 금액을 맡기고 기간 만료일까지 환급을 받지 않는 기한부 예금입니다.적금이란?적금은 은행에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낸 다음 찾는 방법으로 정기 적금과 각종 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기적금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액을 매월 적립하고 만기일에 약정금액을 지급받는 것입니다. - 각종부금정기적금과 비슷하나 일정 회차 이상 부금을 내면 일정 금액을 융자받을 수 있는 권리를 줍니다.- 자유적금자유적금이란 매월 의무납입액 제한없이 자유롭게 적립하는 정기적금입니다.출처: https://blog.ibk.co.kr/1377 [IBK기업은행:티스토리]예금이나 적금에 관한 금리조회에 대한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fsb.or.kr/rateinst_0100.act예금과 적금 중 어떠한 저축이 더 유리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은행 예금과 적금은 서로 다르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IBK에서는 예금과 적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예금이란?예금이란 일정 기간을 정해놓고 자신의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을 말하는데, 예금 방법에 따라 보통예금, 당좌예금, 별단예금, 정기예금 등으로 나누어집니다.예금은 일정 금액, 예를 들어 1억 원을 예금한다면, 1억을 한번에 은행에 넣고 정해진 기간 동안 중도에 찾지 않고 두면 만기일에 정해진 이자수익을 얻는 형태입니다. 그럼 예금별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보통예금입출금이 자유롭고, 가입대상이나 예치금액, 예치기간에 제약이 없습니다.- 당좌예금예금자의 요구에 따라 예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언제든지 지급받는 예금입니다.주로 개인이 아닌 기업이 대상이며, 은행이 예금자를 대신해 수표나 어음으로 입출금을 대행해주어 예금자의 비용과 노력을 절약시켜주는 예금으로 이자나 저축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자금의 보관과 지급위탁이 주목적입니다. - 정기예금예금자가 일정 기간을 정하여 금액을 맡기고 기간 만료일까지 환급을 받지 않는 기한부 예금입니다.적금이란?적금은 은행에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낸 다음 찾는 방법으로 정기 적금과 각종 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기적금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액을 매월 적립하고 만기일에 약정금액을 지급받는 것입니다. - 각종부금정기적금과 비슷하나 일정 회차 이상 부금을 내면 일정 금액을 융자받을 수 있는 권리를 줍니다.- 자유적금자유적금이란 매월 의무납입액 제한없이 자유롭게 적립하는 정기적금입니다.출처: https://blog.ibk.co.kr/1377 [IBK기업은행:티스토리]예금이나 적금에 관한 금리조회에 대한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fsb.or.kr/rateinst_0100.act예금과 적금 중 어떠한 저축이 더 유리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은행금리가 낮아도 예금을 하라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금금리가 다른 투자보다 더 낫다라고 얘기하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일뿐 상황에 따라 맞을수도 틀릴수도 있습니다.다만, 예금은 금리가 낮은 만큼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어떠한 위험투자를 실행하는 투자자들도 일정부분의 예금은 필수적으로 예치해놓은 상황이어야 할 것입니다.예금이나 적금에 관한 금리조회에 대한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fsb.or.kr/rateinst_0100.act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한국 시장이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주식이 저평가 받는 것을 흔히들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표현합니다.실제로 우리나라 코스피에 있는 회사들의 PER를 다른 선진국(미국이나 유럽 등)에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현저히 나고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이러한 문제의 이유는 다양하게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오너Q일가를 필두로 한 대주주 체제이며, 이러한 과도한 경영권 프리미엄이 일반 주주의 이익을 편취하고 있다는 시각이 많습니다.또한 한국의 기업지배구조-경영 투명성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한국은 IMF를 겪고 나서 기업들이 회계기준을 개정, 사외이사제도 도입, 감사위원회 도입, 분식회계 척결 등 많은 제도를 개선하였지만, 외국 평가기관들은 아직도 대한민국의 기업지배구조와 경영 투명성 등을 좋게 보고 있지 않는 것입니다.또한 공매도(空賣渡)제도 또한 우리나라의 주가가 하락하는 원인으로 지목(비판)받고 있습니다.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혹은 하락시킬 타겟을 정해) 주식을 미리 빌려서 비싼 값에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빌린 주식을 싼값에 사들여 넘겨 결제를 완료함으로써 중간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을 말합니다.하락에 배팅을 하여 투자를 하는 방법인만큼 주식시장 전체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거나, 해당 기업들의 나쁜 소문 등에 대한 부적절한 유포를 하는 등 부정적 영향이 돋보이는 방식으로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방식이기도 합니다.공매도의 장점으로는 여러가지가 제시되고 있지만 일부를 안내드리자면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1. 주식시장의 효율성 증가공매도가 없는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주식 가격이 본래 가치보다 고평가 받는 버블이 형성된다는 내용입니다.쉽게 말해 하락에 배팅할 수 없게된다면, 하락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버블이 형성되다가 터지면 엄청난 피해가 예상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2. 유동성 증가공매도가 없다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되는 주식들에 대한 매수자만 있을 뿐 매도자가 없어 거래가 형성될 수 없고 유동성이 낮아지는데 공매도가 존재한다면 매도의견이 반영되어 거래 성사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또한 공매도의 단점은 대표적으로 투자심리 위축이 있습니다.공매도는 결국 주가 하락이 있어야 수익이 나는 구조로서 주식 시장의 하락이 이루어지면 당연히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문제는 공매도한 종목의 주가만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주식들도 이에 대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103110321033103410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