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팔만대장경은 언제 만들기 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판만대장경은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는데, 문화재청의 자료에 따르면 고려 고종 때인 1,236년에서 1,251년까지 16년에 걸쳐 제작했다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경남 합천 해인사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 경판(經板)이 보관되어 있다. 경판은 인쇄하여 널리 보급할 목적으로 불교 경전을 새긴 목판이다. 그 수는 자그마치 81,258장에 이른다. 지금부터 800여 년 전, 고려 고종 때인 1,236년에서 1,251년까지 16년에 걸쳐 제작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다고 ‘고려대장경판’으로도 부르며 8만 4,000의 번뇌를 상징하듯 경판 수가 8만 장이 넘어, 흔히 팔만대장경판이라고 한다. 경판의 크기는 길이 68cm 혹은 78cm가 대부분이며 폭이 약 24cm, 두께가 3cm 전후다. 경판 한 장의 무게는 평균 3.5㎏이지만 나무 종류에 따라 4.4kg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경판을 눕혀 쌓으면 높이 3,200m, 이으면 길이 150리, 전체 무게는 4톤 트럭 70대 분량인 280톤에 이른다. 경판은 한 면에 세로로 23행, 한 행에는 14개 글자가 새겨져 있다. 글자 수는 면당 320여 자씩이고 앞뒤 양면에 새겨져 있으므로 경판 한 장에는 640여 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팔만대장경판 전체의 글자 수는 약 5,200만 자나 된다. 이것은 한자에 능숙한 사람이 하루 8시간씩 30년을 읽어야 모두 읽을 수 있다고 한다. 500년 조선왕조의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의 전체 글자 수가 5,400만 자 전후인 점과 비교해도 고려인의 엄청난 정성이 깃든 유물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