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왜 독일은 소세지로 유명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에서 소시지가 발달한 것은 기후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농사보다는 농가에서의 사육이 더 적합한 기후로서 음식 재료로 사육 기간이 짧은 돼지를 택했던 것이라고 합니다.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드라마를 보면 궁예가 관심법을 쓰는 장면이 있는데 이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예가 ‘관심법’을 쓰며 폭정을 했다는 것은 역사서에 기록돼 있느넫, ‘삼국사기’ 궁예열전에선 ‘신통력’이라 표현했고, ‘고려사’에선 좀 더 구체적으로 ‘미륵 관심법’이란 용어가 나온다고 합니다.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언제부터 생일에는 케익을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서는 케익의 역사를 독일의 풍습에서 찾고 있습니다.음식문화평론가 윤덕노씨가 쓴 의 설명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람이 태어나면 일생 동안 그 사람을 지켜보는 수호천사와 악마가 있다고 믿었다. 평소엔 교감할 수 없지만 생일에는 수호천사나 악마와 영적으로 통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아이가 태어나거나 생일이 되면 오늘날의 케이크라 할 수 있는, 달 모양 빵을 만들어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신전으로 갖고 가 아이의 안녕과 행복을 빌었다. 촛불은 소원을 신에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 생일 케이크를 자르기 전 소원을 빈 다음 촛불을 불어 끄는 이유가 여기서 유래했다.”‘킨더페스트’는 중세 독일의 풍습이라고 합니다. (조민영 지음)에서는 ‘킨테페스테’라고 적었는데, 중세 독일 농가에서 생일을 맞은 아이가 아침에 눈을 뜨면 촛불을 켠 케이크를 선물하고, 촛불은 저녁 식사 때 온 가족이 둘러앉아 케이크를 먹을 때까지 계속 켜놓았다고 해요. 아이의 실제 나이보다 하나 더 많이 밝혀서 또 다른 한 해를 이끌어주는 ‘생명의 등불’로 삼도록 했다는 거죠. 에도 “중세 독일에서 아동절(kinderfest) 때 빵 반죽을 포대기에 누운 아기 예수 형태로 빚어 생일을 축하했는데, 이런 전통이 생일 케이크로 발전했다”고 나옵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87894.html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역사적으로 술은 어떻게 생기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최초로 술을 빚은 생명체는 사람이 아닌 원숭이로 알려져있다고합니다.. 원숭이가 나뭇가지의 갈라진 틈이나 바위의 음푹 패인 곳에 저장해둔 과실이 우연히 발효된 것을 인간이 먹어보고 맛이 좋아 계속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무덤에 묘와 능 같이 구분이 되어 있는데 어떤 의미 인가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족들의 무덤은 묻히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능, 원, 묘로 구분할 수 있는데, 능(陵)은 통상 제왕(帝王)과 왕후(妃),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또는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을 말하며,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과 같이 묘(墓)라 불립니다.
431
432
433
434
4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