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클리셰'라는 단어의 정확한 뜻과 정의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클리셰는 남용의 결과, 의도된 힘이나 새로움이 없어진 진부한 상투구, 상투어·표현·개념을 가리킵니다. 본래는 인쇄 연판(鉛版)을 뜻하는 프랑스어 어휘라고 하는데, 진부한 표현이나 상투적 표현, 판에 박힌 문구 등이 등장할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Q.  선거나 투표같은것을 할때 찍는 인장의 마크가..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표용구의 동그라미 안에 있는 글자를 사람 인으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요.기표용구의 동그라미안에 있는 글자를 점 복자(卜)입니다.원 안에 비대칭인 점 복자를 넣은 이유는 투표지를 접었을 때 다른 부분에 번지더라도 유,무효의 구분이 쉽기 때문입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6732.html
Q.  우리 전통놀이 굴렁쇠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굴렁쇠놀이는 삼국시대에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하는데, 관련 기사를 공유드립니다.굴렁쇠놀이는 수레바퀴를 굴리며 놀던 데서 유래된 것으로, u 또는 y자 모양인 긴 막대기의 홈에 굵은 철사를 둥글게 말아서 붙인 둥근 쇠테를 대고 넘어지지 않게 굴리며 노는 것을 말한다.그러면 굴렁쇠 굴리기 놀이는 언제부터 행해져 왔을까? 새 천년을 살고 있는 우리들은 '굴렁쇠'라는 용어 자체가 어색하기만 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굴렁쇠를 갖고 논 경험이 거의 없어서 물음에 답하기가 어렵기만 하다.전통놀이의 하나인 굴렁쇠놀이는 수레바퀴를 굴리며 놀던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살펴지는데, 삼국시대의 고구려고분벽화에서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5세기 때의 것으로 밝혀진 수산리 고분에 있는 벽화무덤에는 둥근 수레바퀴를 던지며 노는 사람이 등장하고 있어 이때에도 이미 굴렁쇠와 유사한 놀이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713
Q.  세계 어디에서 처음으로 담배를 피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1558년 스페인의 필리페 2세(Philip Ⅱ)가 원산지인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 지대에서 종자를 구해 관상용·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직후인 16세기 말 17세기 초에 유럽에서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담배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 단지 약초로만 알고 있던 사람들은 차츰 기호품으로 흡연하기 시작하였다. 기호품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흡연에 따른 해로움을 알게 되어 흡연의 찬반양론이 일어나기도 하였다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16_0040_0010_0030
Q.  조선총독부는 어떻게 철거가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광복 이후 조선총독부 청사는 우리나라 현대사의 중요한 순간에 자주 등장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하고 광복이 되자, 1945년 9월 9일 서울에 진주한 미군이 조선총독부 청사를 미군정청 청사로 사용하였다. 미군정에 의해 이 건물은 캐피탈 홀(Capitol Hall)로 명칭이 바뀌었는데, 이를 한국어로 변역해 ‘중앙청’ 이라고 불렀다. 1948년 5월 31일에 중앙청에서 제헌국회를 개의하였고, 1948년 8월 15일에는 중앙청 앞뜰에서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이 거행되었다. 6.25전쟁 중에는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이 이를 청사로 사용하였다. 북한군은 퇴각하면서 중앙청에 불을 질렀는데 이로 인해 내부가 피해를 입었다. 1962년에서야 서양식 정문을 철거하고 광화문을 옛 자리에 복원하였다.중앙청은 주요 행정부처가 자리를 잡아 중앙행정관청으로서 기능하여, 권부(權府)의 상징처럼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서면서 정부종합청사가 세워지고 행정기관 일부가 과천 등으로 이전하면서 권부의 상징 이미지는 점차 퇴색되었다. 또한 일제 침략의 상징적 건물이기 때문에 주요 정부기관의 집무실로 사용할 수 없다는 여론이 일어났다. 이에 중앙청 건물은 보수를 거쳐 1986년 6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그러나 아무리 용도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옛 조선총독부 청사가 경복궁 앞에 버티고 있다는 점은 변함없었고 그것이 나라의 보물을 보관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용도로 쓰인다는 것도 국가적 자존심과 국민감정에 좋지 않다는 여론이 일어났다.총독부 청사 철거 논의는 6.25전쟁 중 서울 수복 이후에도 있었지만, 당시 우리나라이 경제사정이 대규모 건물을 해체할 여력이 없었기에 유야무야되었다.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는 1990년 경복궁 복원사업이 시작되면서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논의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는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루어졌다. 1993년 8월 9일 김영삼 대통령은 민족정기 회복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쓰고 있는 조선총독부 청사를 해체하고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국책사업으로 건립하라고 지시했다.이에 1994년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문제가 본격화되었다. 치욕적인 역사를 씻어내자는 측에서의 완전 철거 주장과 뼈아픈 역사를 뒤풀이하지 않기 위한 반면교사로서 역사적 증거로 보존하자는 논쟁이 일어났다. ‘완전철거론’과 ‘현상보존론’, ‘이전복원론’ 등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신한국 창조와 역사바로세우기를 내세웠던 당시 정부는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를 결정했다. 철거 시점은 광복 50주년이 되는 1995년 8월 15일로 정해졌다.광복 50주년 경축식에서 중앙돔의 해체를 시작으로 70년간 우리 땅에 버티고 있던 조선총독부 청사는 철거에 들어갔다. 1996년 11월 13일 조선총독부 건물의 지상 부분 철거가 완료되었고, 1998년 8월 8일 독립기념관은 중앙돔과 건축부재로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을 개원하여 일반에 공개하였다.
451452453454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