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터키는 왜 형제의 나라라고 말하는가?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터키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아무래도 6.25 참전의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물론 알려지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와 터키의 2002년 한일월드컵 3,4위전이 계기입니다.또한 기사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터키 사람들은 한국을 ‘형제의 나라’라고 부른다. 이처럼 한국과 터키가 돈독한 관계에 있게 된 배경에는 6.25 참전 이후에도 두 가지 사건이 있었다. 첫째는 1999년 8월에 터키 서부에 대지진이 발생하여 1만8천 명이 죽고 20만 명의 이재민이 생기는 엄청난 재난이 발생했다. 이때 한국에서 민간인 중심으로 터키를 돕자는 모금 운동을 벌였는데, 40일 동안 23억 원이 모금되었다. 당시 터키 방송국 STV는 한국에서 펼쳐지는 모금 운동을 일주일 동안 다큐멘터리로 촬영한 뒤, 50분 동안 터키 전역에 방송하였다. 이 방송을 본 터키 국민은 크게 감동했다고 한다. 둘째는 2002년 월드컵 축구 경기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터키를 응원한 것이다. 그 당시 “한국과 터키는 형제의 나라다”라는 내용의 글이 인터넷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또한, 터키 유학생들이 터키인들의 한국 사랑을 소개하면서 터키에 대한 한국 국민의 관심이 증폭되어 경기장에서 터키팀을 열렬히 응원하였다. 한국과 터키의 3, 4위전이 열리던 대구 경기장에 자기들이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대형 터키 국기가 관중석에 펼쳐지는 순간, TV로 경기를 지켜보던 수많은 터키인이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때 터키팀이 3:2로 이겨서 월드컵 축구 3위를 차지하였다.)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4560
Q.  금리가 미치는 영향(거시,미시적)과 방향성은?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와 같은 고금리가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지속적인 물가상승 지표등을 검토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금리가 한두차례 정도는 더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금리의 영향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89
Q.  가산금리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산금리는 쉽게 은행에서 기준금리로 돈을 빌린뒤 가산금리를 붙여 개인에게 대출하는 금리가 형성되는 것에서 나옵니다.우리나라 기획재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가산금리는 다음의 의미를 갖습니다.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즉,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시 부족했던 달러화를 해외에서 차입하거나 외평채를 발행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로 인해 대외신인도가 그만큼 낮아진데 따른 것이다. 해외에서 채권을 팔 때 미국 재무부 증권(TB) 금리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 발행금리가 정해진다. 일례로 채권을 발행할때 리보금리가 3.0%이고 가산금리가 2.25%이면 채권의 발행금리는 5.25%가 된다. 이는 채권의 위험성이 커진 것으로 그만큼 채권가격이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bp(basis point)가 사용하는데, 1%는 100bp가 된다. 상기 채권에 붙은 가산금리 2.25%를 가산금리 단위로 바꾸면 225bp가 된다.
Q.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상관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높아지면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한국은행에서는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자산가격경로기준금리 변경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는 가계의 자산, 즉 부(wealth)의 감소로 이어져 가계소비의 감소 요인이 된다.
Q.  경제용어 중에 ESG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ESG는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3가지 핵심 요소를 말합니다.https://esg.krx.co.kr/contents/01/01010100/ESG01010100.jsp
4564574584594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