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우가 중국에서 신격화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우는 삼국지의 촉나라의 장수로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것으로 유명합니다.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관우의 신격화촉한의 무장이었던 관우가 전쟁의 신, 재물의 신, 무(武)의 신으로 추앙받은 것은 명청대에 소설화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가 유행하면서부터이다.무장인 그가 위진남북조시대에는 장군이 되고, 수·당대에는 무성왕묘(武成王廟) 종사를 통해 국가의 사전(祀典)에 편입되었으며, 송·원대에는 후(侯)에서 공(公)으로 그리고 왕(王)으로 추존되고 명·청대에는 관우 신격화가 절정에 달해 황제(皇帝)에 등 극하고 신령(神靈)으로 숭배된다. 특히 종교적으로도 불교에서는 사찰의 수호신, 도교에서는 만능수호신, 유교는 충의(忠義)의 무신으로, 국가통치질서 확립 수단으로 이용되었다.조선에서 관우를 섬기며 제사를 지내는 관왕묘의 건립은 정유재란 때 이루어졌다. 1598년 당시 명군(明軍)이 남묘를 지었고, 이듬해 동묘가 세워졌다. 그리고 고종대에 이르러서는 북묘와 서묘가 건립되는 등 한양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 생겼다. 이때 관우신앙의 정치적 활용도 주목할 만하다. 선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 등은 관우의 ‘충의용절신(忠義勇節信)’을 퍼뜨려 자연스럽게 왕에 대한 충성을 중요한 미덕으로 내세울 수 있었고, 이를 통한 권력 강화를 기대했다.
Q. 북한도 세계 문화 유산이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문화재청의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북한의 세계유산 (총 2건)1. 고구려고분군 (2004, 문화) - 위치 : 평양, 평안남도, 남포, 황해남도 - 구성 : 약 30여기 고분 1) 평양 : 동명왕묘 주변 고분군(진파리 고분 1~15호 포함), 호남리 사신묘 주변 고분 2) 평안남도 : 덕화리 1,2,3호분 3) 남포 : 강서삼묘, 덕흥리 고분,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용강대총, 쌍영총, 4) 황해남도 : 안악 1,2,3호분 - 개요 : BC 3세기부터 AD 7세기까지의 고분군은 강성했던 고구려 문화를 알려주는 거의 유일한 유산임. 고구려 고분은 뛰어난 건축기법을 보여주며, 인근 다른 지역의 고대 매장풍습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유산. ※ 중국 “고구려의 수도와 고분군” (2004, 문화) - 구성 : 3개 수도, 40기 고분(왕릉 13기, 귀족묘 26기) 1) 요녕성 환인현 : 오녀산성 2) 길림성 집안현 : 국내성․환도성(환도산성 등), 왕릉 14기(광개토대왕릉과 비 포함), 귀족묘 26기(무용총, 각저총, 장천고분 등)2. 개성 역사유적지구 (2013, 문화) ㅇ 위치 : 개성시 장풍군, 개풍군 ㅇ 구성 : 12개 유적 1~5) 개성 성곽 (5개 구역), 6) 만월대와 개성 첨성대, 7) 개성 남대문, 8) 고려 성균관, 9) 숭양서원, 10) 송죽교와 표충사, 11) 왕건릉, 7개 릉, 명릉 일대, 12) 공민왕릉 ㅇ 개요 : 개성은 10~14세기 동안 지속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증명하는 유산.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왕조 이전 여러 국가들의 가치관이 융합된 모습을 보여주며, 주변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보여줌. 동아시아에서 불교사상이 유교사상으로 전환되던 시기를 잘 보여주는 특출한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