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거문고와 가야금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문고는 줄이 6개며, '술대'라는 대나무로 만든 막대기로 줄을 치면서 연주를 합니다. 반면 가야금은 줄이 12개로, 손가락으로 직접 줄을 튕겨 소리를 냅니다.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news.koreadaily.com/2003/05/28/society/opinion/227293.html
Q.  관우가 중국에서 신격화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우는 삼국지의 촉나라의 장수로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것으로 유명합니다.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관우의 신격화촉한의 무장이었던 관우가 전쟁의 신, 재물의 신, 무(武)의 신으로 추앙받은 것은 명청대에 소설화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가 유행하면서부터이다.무장인 그가 위진남북조시대에는 장군이 되고, 수·당대에는 무성왕묘(武成王廟) 종사를 통해 국가의 사전(祀典)에 편입되었으며, 송·원대에는 후(侯)에서 공(公)으로 그리고 왕(王)으로 추존되고 명·청대에는 관우 신격화가 절정에 달해 황제(皇帝)에 등 극하고 신령(神靈)으로 숭배된다. 특히 종교적으로도 불교에서는 사찰의 수호신, 도교에서는 만능수호신, 유교는 충의(忠義)의 무신으로, 국가통치질서 확립 수단으로 이용되었다.조선에서 관우를 섬기며 제사를 지내는 관왕묘의 건립은 정유재란 때 이루어졌다. 1598년 당시 명군(明軍)이 남묘를 지었고, 이듬해 동묘가 세워졌다. 그리고 고종대에 이르러서는 북묘와 서묘가 건립되는 등 한양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 생겼다. 이때 관우신앙의 정치적 활용도 주목할 만하다. 선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 등은 관우의 ‘충의용절신(忠義勇節信)’을 퍼뜨려 자연스럽게 왕에 대한 충성을 중요한 미덕으로 내세울 수 있었고, 이를 통한 권력 강화를 기대했다.
Q.  주사위는 어디서 유래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주사위의 역사 인류 역사에 언제 주사위가 처음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집트에서는 이미 기원전 10세기 이전에 상아나 동물의 뼈로 된 주사위가 있었다. 주사위는 발굽이 있는 동물의 관절 뼈(거의 정사면체 모양이다)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추정되며, 역사시대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Q.  북한도 세계 문화 유산이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문화재청의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북한의 세계유산 (총 2건)1. 고구려고분군 (2004, 문화) - 위치 : 평양, 평안남도, 남포, 황해남도 - 구성 : 약 30여기 고분 1) 평양 : 동명왕묘 주변 고분군(진파리 고분 1~15호 포함), 호남리 사신묘 주변 고분 2) 평안남도 : 덕화리 1,2,3호분 3) 남포 : 강서삼묘, 덕흥리 고분,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용강대총, 쌍영총, 4) 황해남도 : 안악 1,2,3호분 - 개요 : BC 3세기부터 AD 7세기까지의 고분군은 강성했던 고구려 문화를 알려주는 거의 유일한 유산임. 고구려 고분은 뛰어난 건축기법을 보여주며, 인근 다른 지역의 고대 매장풍습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유산. ※ 중국 “고구려의 수도와 고분군” (2004, 문화) - 구성 : 3개 수도, 40기 고분(왕릉 13기, 귀족묘 26기) 1) 요녕성 환인현 : 오녀산성 2) 길림성 집안현 : 국내성․환도성(환도산성 등), 왕릉 14기(광개토대왕릉과 비 포함), 귀족묘 26기(무용총, 각저총, 장천고분 등)2. 개성 역사유적지구 (2013, 문화) ㅇ 위치 : 개성시 장풍군, 개풍군 ㅇ 구성 : 12개 유적 1~5) 개성 성곽 (5개 구역), 6) 만월대와 개성 첨성대, 7) 개성 남대문, 8) 고려 성균관, 9) 숭양서원, 10) 송죽교와 표충사, 11) 왕건릉, 7개 릉, 명릉 일대, 12) 공민왕릉 ㅇ 개요 : 개성은 10~14세기 동안 지속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증명하는 유산.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왕조 이전 여러 국가들의 가치관이 융합된 모습을 보여주며, 주변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보여줌. 동아시아에서 불교사상이 유교사상으로 전환되던 시기를 잘 보여주는 특출한 유산
Q.  에도에서 도쿄로 바뀐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에도'로 불린 도쿄는 일본 정치・문화의 중심지로 18세기 중반에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로 변모했다. 1868년 에도 막부가 무너진 뒤 에도는 도쿄로 개칭되었다. 이로 인해 천황이 교토에서 도쿄로 이동하면서 도쿄는 명실상부한 일본의 수도가 되었다https://www.metro.tokyo.lg.jp/KOREAN/ABOUT/HISTORY/history01.htm
491492493494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