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녹조 현상은 오히려 물고기 먹이가 많이 생기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녹조는 계속해서 발생해왔지만, 유달리 이번 여름에 심한 이유는 바로 폭염 때문이다. 사실 적조와 녹조는 모두 기온의 상승과 연관이 깊다. 물의 표면에 녹조가 덮히면서 수중으로 들어가는 햇빛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용존산소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이 줄어들게 된다.다시 말해, 기온이 올라가면서 수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하게 되고 일조량이 많아지면서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다공급되고 이에 따라 녹조류와 플랑크톤이 활발하게 증식해서 녹조와 적조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또한 녹조는 유속이 느린 곳에서도 자주 발생하게 된다. 최근 폭염으로 인해 물이 마르면서 유속이 느려질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둘러싼 고기압 때문에 장마가 짧아지고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 물의 양 자체가 줄어 그 피해가 더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녹조현상은 인체에 크게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람에게도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수물을 마실 경우,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몇십 년 이상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일단 녹조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어 악취가 나고 그 지역의 수중 생태계가 파괴된다. 바로 수중생태계를 파괴하는 독성물질을 생산하는 녹조류가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견되는 남조류의 일종인 ‘아나베나’와 ‘마이크로시스티스’ ‘지오스민’이라는 유해성분을 가지고 있다. 지오스민은 인체에는 무해하나, 물에서 냄새를 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달과 지구사이의 인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달이 가까와 오면 밀물이 되고 달이 멀리 있을 때 썰물이 되는 것입니다. 바닷물이 달의 인력에 의하여 밀려오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탈모인구중에서 왜 대부분은 남자인것인가요? 남자들에게만 탈모의 DNA가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여자도 대머리가있습니다. 다만 유전적, 호르몬적 대머리가 남성호르몬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남성 대머리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 뿐입니다.기본적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가 남성호르몬의 영향이 있는것으로 과학적으로 밝혀졌습니다따라서 남성호르몬이 많은 남성이 대머리가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남성 대머리가 많은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과학적인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세포분열은 세포주기(cell cycle)의 M 기(phase)에 일어나며 핵분열과 세포질분열(cytokinesis)을 포함한다. 세포분열 사이의 시기는 세포주기의 간기로 G1, S, G2 기로 구분된다.간기(interphase)간기는 세포가 체세포분열, 감수분열, 세포질분열 이전에 반드시 거쳐야 되는 단계로, 응축된 염색체를 볼 수 없다. 간기는 G1, S, G2 기를 포함하며 각 단계를 거치지 않고는 다음 단계로 갈 수 없다. G1 기는 세포가 생장을 하는 시간으로 휴지기인 G0 기에 멈추어 있다가 G1 기로 다시 돌아올 수 있으며, G1 기에서 S 기로 가기 전에 검문지점(checkpoint)를 거치면서 S 기로 갈 준비가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S 기에서 염색체 DNA가 복제되며 분열을 거치면서 1개의 염색분체(chromatid)로 된 염색체가 2개의 염색분체를 갖게 된다. G2 기에 세포는 생장을 완성하고 M 기를 준비한다. 세포에 따라 M 기는 체세포분열 또는 감수분열을 하는데, 생식세포는 감수분열, 체세포는 체세포분열을 하고 각 분열과정에 세포질분열을 수반한다. 각 검문지점에서는 사이클린(cyclin)과 사이클린의존성 인산화 효소(cyclin-dependent kinase)가 작용한다.M 기에서는 복제된 염색분체가 분리되어 세포가 분열을 하여 동일한 세트의 염색분체를 갖는 딸세포로 나뉘어지고 된다. M 기는 일반적으로 핵분열의 전기(prophase), 중기(metaphase), 후기(anaphase), 말기(telophase)와 세포질분열로 구분하나 핵분열 단계는 더 세분화하기도 한다.(a) 전기간기에 이완되었던 염색체가 응축하며, 간기의 S기에 염색분체가 복제되어 2개의 염색분체를 가진다. 동물세포에서는 한 쌍의 중심체(centrosome)로부터 방추체가 형성되기 사작하나, 식물세포에는 중심체가 없는 경우가 있지만 방추사는 있다. 염색체 이동을 위해서 핵막이 분해되면서 방추사의 미세소관 끝(+)이 염색체에 부착한다. 일부 방추사는 염색체 쪽으로 뻗지만 부착하지 않는 것도 있다.(b) 중기염색체가 세포의 가운데 중기판(metaphase plate)에 배열되며, 방추체조립 검문 (spindle assembly checkpoint) 과정에 의하여 각 염색체가 중기판에 배열하여 양쪽으로부터 나온 방추사에 결합한다.(c) 후기염색분체가 분리되어 반대편 끝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분리된 각 염색분체는 독립된하나의 염색체로 작용한다.(d) 말기염색체가 방추체 끝에 도착하고, 핵막이 염색체 주위로 다시 형성된다. 염색체는 이완된다.(e) 세포질분열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닭이 알을 낳는 주기는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하루에 한개 씩 낳는 날도 있고 하루에 2개씩 낳는 날도 있구요1년에 280개 정도 낳는 다고 합니다.그리고 나이가 들면 닭이 알을 낳지 못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동 염색체라는 것은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체세포의 핵에 있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로 2개씩 짝을 이룬다. 같은 형질에 관계하는 유전자(대립유전자)가 같은 순서로 늘어서 있다. 감수분열 전기에 한 쌍이 서로 접합하여 2가지 염색체를 형성한다.염색분체는 세포분열을 하기 위해 하나의 염색체가 복제하여 두 줄이 되었을 때 각각의 줄을 염색분체라고 한다. 염색분체 각각은 서로 부착되어 있고 한 개의 염색체이다. 그리고 염색분체 사이에는 유전자의 정보가 일치한다. 반면 상동염색체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두 개의 염색체를 말한다. 상동염색체에 포함된 유전자의 종류별 서열이 일치하지만 염색분체와 같이 각각이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는 상동염색체의 한 쌍이 각각 어버이에게서 하나씩 온 것이기 때문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북극과 남극은 왜 항상 추운건가요? 무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흰 눈으로 덮여 있고 바람이 세차게 부는 추운 남극과 북극은 일 년 내내 겨울만 계속될까? 알다시피 남극과 북극은 모두 추워. 이 둘 중에는 남극이 더 춥지. 무려 영하 89℃까지 남극의 기온이 내려간 적이 있을 정도니까.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23℃ 정도야. 물론 남극 대륙 안쪽인 남극점 부근은 좀 더 낮아.북극은 남극보다는 좀 따뜻하지. 남극이든 북극이든 우리가 보기에는 일 년 내내 겨울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 하지만 나름대로 기온이 더 올라가는 시기가 있지. 바로 이때가 여름이야. 남극 해안 지방의 여름 평균 기온은 우리나라의 겨울과 비슷해. 남극은 여름에 이끼가 자라. 또한 북극 주변의 섬에는 여름이 되면 아름다운 색깔의 꽃이 피고, 곤충과 새가 날아와. 여우, 순록 등 다양한 동물이 2~3주의 짧은 기간 동안 짝짓기를 하면서 번식에 힘을 씁니다남극에는 사람이 살지 않지만, 북극 주변의 섬에는 털이 하얀 북극곰이랑 원주민이 살고 있어. 북극의 원주민들은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사냥을 하며 살고 있지. 이것만 봐도 남극보다는 북극이 훨씬 따뜻하고 생물이 살기 좋은 곳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이 검게 보이는건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햇빛이 구름에 부딪히면 산란을 하여 대부분 흰색으로 보입니다.그런데 구름층이 너무 두꺼우면 산란된 빛이 지상으로 도달하지 않고 소멸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 제외 당한 이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2000년대 이후 명왕성 궤도 밖에서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들이 잇달아 발견되었는데(카이퍼벨트) 문제는 2003년에 발견된 2003UB313(제나)의 지름이 명왕성보다 큰 3000킬로미터였다는 것이었습니다. 국제 천문연맹은 제나보다 작은 명왕성이 행성이라면, 명왕성보다 작지만 구형에 태양을 도는 세레스, 카론 // 새로 발견된 제나 이 3개도 행성 취급을 해야 한다고 해서 행성 수는 12개로 늘어날 것처럼 보였죠. 그러나 천문기술의 발달로 인해 비슷한 행성의 숫자가 금세기 내에 수십개로 늘어날 것은 확실해 보였습니다. 이에 천문학적 지식의 혼란을 막기 위해 새로운 기준으로 행성자격을 제한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죠. 결국, 고심 끝에 내린 결론이 "해당 궤도 내에서 지배적이어야 함" 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태양을 공전하고, 구형으로 뭉쳐 있지만 해당 궤도를 지배하지 못하는 세레스, 카론, 제나, 명왕성 4개는 행성에서 탈락했습니다. 즉 명왕성은 제나의 발견으로 인하여 본의 아니게 퇴출된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속 심해에서 사는 물고기는 어떻게 압력을 견디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을 채워넣는 것이죠. 이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체가 찌그러들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어요.또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