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준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수 전문가입니다.

이준수 전문가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처방없이 구매할수있는 수면제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면진정제로 분류되는 수면제는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복용이 가능한 전문의약품이며,정신건강의학과로 방문하시어 주치의와 판단 하에 처방받으실 수 있습니다.수면제의 경우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사용하신 후 중단하시어야 합니다.​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수면유도제는 일반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합니다.수면 패턴이 일정치 않은 경우 수면유도제를 단기적으로 사용하여 조절해볼 수 있습니다.​Doxylamine 성분의 아O정 등이나 Diphenhydramine 성분의 쿨드O연질캡슐 등이 있겠습니다.Doxylamine 제제는 만 15세 이하에게 연령금기가 있으므로 구매에 참고하시길 바립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정신과 (공황장애) 약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공황장애나 불안장애 등에 1차적으로 SSRI 계열의 약제가 처방됩니다.푸로작 등의 Fluoxetine 이나 Paroxetine 과 같은 SSRI 계 약제들이 가장 먼저 처방되며필요한 경우 벤조다이아제핀계 신경안정제가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아마 꾸준히 복용하실 약 (세라토닌? 이라고 말씀하신 약으로 추측됩니다.) 은 SSRI 계 약제일 것으로 보이고필요 시 복용하실 약이 벤조다이아제핀계 신경안정제일 것으로 보입니다.필요 시 복용하시는 약이 이상 흥분을 가라앉히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인 만큼신경 흥분 정도를 낮추어 졸음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이를 개선하기 위해 커피 등 중추신경 각성제를 복용하시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부작용 정도가 심하신 경우 처방의와 상의하시어 적절히 약제를 변경해볼 수 있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피로에 지친몸 구제해주세요 ㅠ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피로 회복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추천 드리는 것이 비타민B군 고함량 제제입니다.특히 비타민B1 (티아민) 이 활성형으로 들어간 제제들이 도움이 되며,활성형 비타민 B1 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분표에서벤포티아민 (Benfotiamine) / 비스벤티아민 (Bisbenthiamine) / 푸르설티아민 (Fursultiamine) 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비맥O 메타 / 벤포O / 엑세라O 등 다양한 제품을 추천드릴 수 있겠습니다.추가적으로 신체 활동이 많은 업무를 하시는 경우 육체피로 개선을 위해비타민B군 제제에 마그네슘 제제를 추가해 복용해보시는 것도 선택지가 될 수 있겠습니다.비타민B군 제제에도 마그네슘이 포함된 제품들이 많으나 함량이 높진 않으므로마그네슘 제제를 별도로 구매하시어 함께 복용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위와 같은 조합으로도 해결이 안 될 경우 원인이 다른 곳에 있을 수 있어 다른 선택지를 봐야합니다.음주가 잦으신 경우 간 문제일 수 있어 실리마린 제제나 아미노산 제제로 간 피로를 개선하는 것이 선택지가 될 수 있고,혈액 순환 개선을 위해 오메가3, 코엔자임 Q10 제제 등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다만 모든 답변 이전에 절대적인 식사량이 모자란 경우 영양 부족에 의한 피로일 수 있으므로적절한 영양 섭취를 먼저 선행하시면 좋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액체약/가루약/알약의 흡수 효과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동일 성분인 경우액상제제 > 가루약 (산제) > 알약 (정제) 순으로 흡수 속도가 빠릅니다.약물 성분이 차이가 날 경우 성분의 특성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대개 위와 같이 제형적인 측면이 흡수 속도 측면에서는 가장 유의하게 영향을 끼칩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해도 소변으로 배출한다고 하던데, 많이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의약품은 체내에서 작용을 마친 후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설됩니다.약국에서 말씀하신 부분은 신장을 거쳐 소변으로 배설된다는 배설 경로를 말씀하신 듯하며'많이 먹어도 소변으로 다 나가니까 많이 먹어도 된다.' 등의 의미로 말씀하신 것은 아닙니다.항히스타민제 과량 복용 시 과도한 진정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항콜린작용으로 인한 어지러움, 두통, 동공확대, 뇨저류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2세대 항히스타민제 (Cetirizine, Loratadine, Fexofenadine) 의약품을 구매하신 경우세 성분 의약품 모두 하루 한 번, 한 번에 한 알씩 복용하시는 것으로 용법이 정해져있으니 용법·용량에 맞게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알러지약과 진통제 같이 복용가능?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Acetaminophen 해열진통제와 NSAIDs 계통의 소염진통제 등은아마 알러지 증상으로 복용하고 계실 항히스타민제와는 특별한 상호작용이 없으므로함께 복용하셔도 무관하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영양제
영양제 이미지
Q.  비타민등 각종 약을 같이 삼켜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본문에 기재하신 것들은 특별한 상호작용이 예상되지 않아 함께 복용하셔도 무관하겠습니다.이외에 추가로 복용 중이신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등이 있으신 경우약물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추가로 알려주셔야 합니다.아스피린과 고함량 비타민B, C에 의해 속쓰림 등의 위장증세가 있을 수 있으니가급적 식사 후 많은 물과 함께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소화가잘안되여 뭘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화 기능이 떨어져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의약품으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흔히 소화제로 알고 계시는 소화효소제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위장운동기능이 떨어져있는 경우에는 소화효소제 보다는Trimebutine 성분과 같은 위장운동조절제가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ex. 씨트메O정, 벤즈O정 등...)다만, 일반의약품 쪽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증요법 치료제이므로소화 기능 자체를 점검해보시려면 병원으로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적당하겠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같은 증상에 같은 약이라도 사람에 따라 효과가 다를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약물이 약효를 나타내기 위해 흡수 및 대사 등이 필요한 경우환자마다 소화기능, 식습관 등에 차이가 있어 흡수율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고대사기능 역시 유전적인 소인이나 2차적인 원인으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어이에 기인하여 약효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배설 측면에서도 배설 기능이 떨어질 경우체내에서 약 성분이 원활히 배설되지 못해 약효 지속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등여러 면에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위와 같은 부분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의사와 상담하신 후 의약품을 복용하시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약은 정확하게 일정한 시간에 먹어야 효과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중 약물 농도의 유지가 중요한 성분은 정확한 시간간격 (ex. 8시간마다 / 12시간마다 등...) 으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실제로 이 용법을 따르려고 해보면 실생활 중에 이 복약 시간을 지키는 것이 굉장히 어렵습니다.때문에 특별히 식사 여부와 약효 간에 큰 유의성이 없는 경우 복약 편의성을 위해하루 3번 식후 30분 / 하루 2번 식후 30분 등으로 처방을 내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실제로 하루 3번 (아침, 점심, 저녁) 식후 30분 복용 시 대략 6시간 정도의 간격이 잡혀8시간 간격으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약품의 복용 간격과 얼추 맞아지며하루 2번 (아침, 저녁) 복용 시 대략 12시간 간격과 얼추 맞아집니다.복약 편의성 이외에도 식후 복용 시 약물에 의한 속쓰림 등의 위장증세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이점도 있습니다.식전 복용이 약효 측면에서 바람직한 의약품은 식전 처방이 됩니다.예를 들어 식사에 의해 흡수를 방해받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3863873883893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