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반딧불이 불빛을 내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의 발광원리제1단계: 반딧불이의 짝짓기 철은 초여름의 2주간이다. 암컷들은 밤이 되면 숲과 잔디밭에 앉아, 수컷들이 날아오기를 기다린다.제2단계: 수컷이 비행할 때 산소가 뱃속 기관을 통해 엉덩이에 들어간다(A). 외골격 표면을 통해 발광포(발광세포)로 산소가 전달되는 것이다.제3단계: 발광포 내에서 발광소 효소가 빛을 만들어내는 발광소 분자와 합쳐진다(B). 그리고 산소 및 에너지 저장 ATP에 의해 촉매 반응이 일어난다. 그 결과물은 산소발광소이다. 원자의 에너지가 초과되어 빛으로 방출되는 화합물인 것이다. 이 빛은 반딧불이의 아랫배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제4단계: 수컷 반딧불이의 엉덩이는 이 과정을 5.5초 간격으로 반복한다. 암컷은 눈에 든 수컷의 엉덩이가 빛날 때마다 2초의 시간차이를 두고 발광한다. 암컷도 화학적 원리는 수컷과 똑같다. 발광신호를 통한 눈 맞춤과 윙크인 것이다.제5단계: 수컷은 암컷의 빛을 따라 날아가 짝짓기를 한다. 며칠 후면 암컷은 땅 위에 수정란을 낳는다. 부화에는 2~4주가 걸린다. 이 모든 것이 마법 같은 발광 작용 덕택이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휴대폰으로 외국식당 메뉴판을 사진찍어서 번역하니 한국말로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카메라에 인식된 문자를 핸드폰으로 읽어드리는 기술이 반영된거죠. 원리라기 보다는 문자인식 능력이 카메라에 탑재되어 그렇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조리 비조리로 칼로리가 바뀌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음식의 조리상태에 따라 달라질 순 있습니다. 이유는 우리몸에서 흡수되는 것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계란도 삶은계란, 후라이 등이 모두 같은 양만 요리할때 흡수율이 달라진답니다. 흡수율에 따라 칼로리 등 영양소의 흡수율이 달라지겠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로나19가 자신의 바이러스를 어떻게 복제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이러스 종류마다 다른데,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숙주의 몸에 들어와 숙주의 일반세포에 바이러스 DNA를 주입시켜서 세포에서 이 DNA를 복제시킨답니다. 그렇게 해서 증식하는 것이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경유가 더 비싸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해 탱크가 많이 사용되다보니 경유값이 오르는 거랍니다. 어느것이 경제적이라고는 전쟁이 언제 끝날지 모르기에.. 판단해드리긴 어렵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염화칼슘 뿌린 곳을 다니면 차량 부식이 많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차량하부에 염화칼슘이 묻게되면, 부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하부세차를 자주 하시고, 코팅을 하시는 것이 예방하시는데 도움 될거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은 어떻게 계속 불탈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무한에너지는 아니랍니다. 현재 과학적으로 태양의 수명은 정해져있습니다. 현재까지, 태양 내부의 수소가 헬륨으로 핵융합 될 정도가 많다보니, 아직은 에너지를 계속 내는거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 피는 왜 붉은 색 인가요? 다른 동물들도 모두 피가 붉은 색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동물이 빨강색은 아니랍니다. 사람은, 적혈구가 있어서 빨강색의 혈액이 있는 것이죠. 적혈구를 갖고있는 동물들은 빨강색의 혈액이 존재한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피가 응고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제일 먼저 상처가 나서 출혈이 진행되면 혈소판이 파괴되면서 트롬보키나아제가 나오는데요,이 트롬보키나아제는  와 함께 혈장 속의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킵니다.그리고 활성화된 트롬빈은 혈장 단백질인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킵니다.그럼 피브린이 혈구(적혈구,백혈구)와 엉겨서 혈병이 만들어지게 되는데요, 이 혈병이 바로 피딱지입니다.혈병(피딱지)를 만듬으로써 몸 안의 혈액이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거죠.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는 혈장에 존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닭이나 타조는 날개가 있는데 왜 못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날았지만, 두 조류는 오랜시간동안 날 일이 없다보니, 날개가 퇴화되어 다른 조류에 비해 높게 못나는 거랍니다. 퇴화쪽으로 진화가 된것이죠.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