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가을이란 계절은 정말 없어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랍니다. 다만, 당장 가을이 없어진다고 보긴 어렵고 조금조금 짧아질 거랍니다..기후변화를 막아야 계절을 지킬 수 있겠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여름철 음식물에 있는 벌레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벌레들이 음식물을 먹이로 삼기때문에 기존 작은 벌레들이 먹이를 먹고 거기서 알을 까는 거랍니다. 그래서 계속 개체수가 늘어나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사과는 깍아놓고 몇시간 지나면 변색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사과에서 갈변이 나는 이유는 폴리페놀 산화효소 때문이랍니다. 이 효소를 사과가 갖고있는데, 산소에 접촉되면 산화반응이 일어나서 갈변이 일어나는 거랍니다. 거의 10분 후부터 바로 보여집니다. 건강상에는 이상없으니 드셔도 무방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낙엽이 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되면 서서히 햇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겨울이 되면 그 양은 급격히 줄어든다. 나무가 살기 위해서는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야 하는데, 겨울에는 이 햇빛의 양이 턱없이 부족해 양분을 만들어 살아가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나무는 겨울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 가을부터 잎을 떨어뜨릴 궁리를 하기 시작하는 것이랍니다.그리고 여기에 잎이 모든 희생을 감수하고 떨어진 것이 바로 낙엽이랍니다. 이렇게 해서 나무는 잎을 모두 떨어뜨리고 최소한의 에너지로 겨울을 날 준비를 한 거 랍니다. 낙엽이 떨어지는 원리는나무는 먼저 주위 환경의 변화를 아브시스산이라는 식물 호르몬을 통해 감지하고, 잎을 떨어뜨리기 위해 잎자루와 가지가 붙어 있는 부분에 '떨켜'라는 특별한 조직을 만듭니다. 이 떨켜가 자라 결국에는 잎을 떨어지게 합니다. 나뭇잎은 겨울이 오기 전에 모두 떨어지고 나무는 깊은 겨울잠에 들어간답니다.그런데 모든 나무가 다 가을에 잎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랍니다. 밤나무나 떡갈나무 같은 나무는 떨켜를 만들 줄 모르기에 본래 더운 지방 식물이었기 때문에 이들 나무는 겨울이 되어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바싹 마르더라도 가지에 붙어 있다가, 겨울의 강풍에 조금씩 떨어지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사람의 체온은 어떻게 36도선을 유지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체온도 그 중의 한가지인데요. 보통 온도를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절을 한답니다. 온도가가 낮아지면, 신호를 통해 근육이나 간 등에서 열을 생산하게 하고 피부와 폐에서 열 손실이 덜 나게끔 하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몸은 근육과 기타 장기에서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가능한 거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날씨가 추워지면 건조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날이 추워서라기 보다는, 우리나라가 겨울철에 추워지는 이유는 북쪽의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서 추워지는 거랍니다. 시베리아 기단은 온도가 낮을 뿐 아니라, 건조한 대기를 갖고있어서 추워서 건조하기 보다는, 추움+건조함이 같이 내려온다고 보시면 되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침과 저녁 보이는 하늘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아침 저녁으로 태양빛이 비춰지는 양이 다르기 때문이랍니다. 보통 낮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건, 빛이 산란하는 현상때문인데요. 저녁에는 태양빛이 적어지기 때문이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발고도가 높아지면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보통 태양과 가까워지면 태양열을 받습니다. 그래서 고도가 올라가면 더 더워져야 한다고 생각을 하지만, 태양열외에도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지표 반사열도 영향이 되어 더 추워진답니다. 지표면에 있을 수록 복사에너지에 의한 지표열로 따뜻하지만, 고도가 올라갈수록 이 열이 낮아지기 때문에 더 추운거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소금물에서 물체가 뜨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부력은 중력장이 있는 곳에서물체(고체, 액체, 기체)가 유체(액체, 기체)속에 존재할 때 발생합니다.우주정거장 에서는 중력이 없어서 부력도 발생하지 않습니다.​또한 부력(B)은유체의 밀도(ρ)에 비례하고,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부피(V)에 비례하며,중력가속도(g)에 비례합니다.​그래서 부력은 위 3가지 요인의 곱 만큼 발생합니다.B = ρVg​민물의 밀도는 1,000kg/m^3 이고,바닷물의 밀도는 약1,030kg/m^3 입니다.​바닷물의 밀도가 민물의 밀도보다 약3% 큽니다.이러한 유체의 밀도차이 때문에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부피(V)가 똑같을 때민물보다 바닷물에서 부력이 크게 발생합니다.​그외 떠있는 물체는 자기 자신의 무게만큼 부력을 받게되는데요.물에 떠있는 배를 기준으로 보면배가 물속에 잠긴 부피는 민물에서 보다 바닷물에서 작습니다.민물에서 보다 작은부피가 잠겼는데도 똑같은 부력을 받게 됩니다.​배의 무게가 1톤중일 때배가 밀어낸 물무게는 민물이나 바닷물 모두 1톤중 입니다.배가 밀어낸 물부피는 민물보다 바닷물이 작습니다.​소금을 물에 녹였는데소금물의 밀도가 1,015kg/m^3 일때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부피(V)가 똑같을 때 받게되는 부력의 크기는민물
화학
화학 이미지
Q.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미세한 구멍들은 콜라 속 이산화탄소가 콜라 안에서 금방 뽑혀 나오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면, 콜라를 세게 흔들어 이산화탄소와 콜라를 분리시키면 강하게 콜라가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멘토스를 넣은 경우에도 콜라가 뿜어져 나옵니다.  콜라의 탄산이 셀수록, 멘토스의 개수가 많을 수록 (어느정도 까지만) 뿜어져 나오는 콜라의 양은 증가합니다. 폭발의 강도가 다양했던 이유는 탄산음료의 종류마다 표면장력이 다르기도 하고, 탄산의 양도 달랐기 때문입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