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고학년 부모입니다. 무엇을 시키면 말대꾸와 심하게 반항을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사춘기에 접어 들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점점 사춘기에 접어드는 시기가 빨라지며 남자 아이보다 여학생이 좀 더 빨리 사춘기가 옵니다. 자녀가 성장하고 생각이 자라게 되었으므로 부모님도 아이를 대하는 방법을 바꾸셔야 합니다. 말을 잘 듣던 어린 시절만 생각하시고 어릴 때 대하듯이 아이에게 대화를 하면 아이들은 부모의 말을 듣지 않고 반항을 하게 됩니다.사춘기 자녀는 한 인격체로 존중해 주며 지시하는 말투 보다 의견을 물어보는 말투고 아이를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행동해라~ 가 아니라 "너는 ~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너는 어떻게 하면 좋은 것 같니? 등과 같이 아이에게 의견을 물어보고 아이의 의견을 잘 수용하는 대화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도 본인의 의견이 존중받는다고 생각이 들게 되면 부모에게 말대꾸하기 보다 신중하게 자신의 생각을 좀 더 표현하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짜증을 자주 낼 때는 부모로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요즘 들어 짜증이 부쩍 늘었다면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몸이 좋지 않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있거나 친구관계에 문제가 있지 않은 지 먼저 알아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분노, 속상함, 실망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이 미숙하여 짜증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화가 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자꾸 시켜주세요. 예를 들면 "내가 ~ 하고 싶었는데 엄마가 잘 알아차리지 못해 화가 났어요." 등과 같이 화가 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해 주세요. 그렇게 말로 표현하게 되면 부모는 아이의 화나는 감정을 일단 공감해 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아이에게 어떻게 하면 좋을 지 물어본 후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보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짜증을 내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했을 때 크게 칭찬해 주세요. " 우리 ~가 말로 표현해 주니 엄마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빨리 알 수 있어서 너무 좋구나." 등과 같이 칭찬을 통해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해 주시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집과 유치원에서의 행동이 다른 아이에 대해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치원에서는 모범이 되는 행동을 한다는 것은 아이가 사회성이 발달했으며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는 성향으로 어떤 행동이 칭찬을 받는지 잘 알고 행동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가정에서 애기처럼 행동하는 이유는 부모님에게는 굳이 잘 하지 않아도 되며 마음 편하게 응석을 부려도 부모님이 다 받아준다는 것을 아이가 알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가정에서도 응석을 부린다고 다 해주거나 받아주지 마시고 유치원에서 처럼 스스로 할 수 있게 훈련을 시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손버릇이 좋지 않은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반복적으로 다른 사람의 물건을 몰래 가지고 오는 것은 나쁜행동 이라고 가르치고 아이가 그 물건을 직접 가지고온 사람에게 돌려주도록 가르치세요. 단, 다시는 그렇게 못하게 한다고 심하게 야단치거나 경찰아저씨가 잡아간다며 협박을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훔치는 일이 누구에게 야단 맞거나 벌을 받기 때문에 하면 안되는 행동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나쁜 행동이니 하지 말아야된다고 가르치셔야 자신을 절제하는 아이로 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4학년 여아의 아뇨증 치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소아야뇨증의 경우 성장하면서 괜찮아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야뇨증이 있는 경우 숙면을 취하기가 어려워 성장에 방해를 줄 수가 있으며 실수에 대한 수치심으로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자녀의 경우 두세달에 한번씩 야뇨 증상을 보이므로 횟수가 빈번하지 않아 자기전 소변을 보고 물을 먹지 않는 방법으로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그러나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심리적으로 문제가 발견된다면 전문기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