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5살 여자 아이, 성조숙증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조숙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맛, 짠맛이 강한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음식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숙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줄여 호르몬 분비를 정상적으로 하게 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시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애기는 평균적으로 태어난지 몇개월 후 부터 화장실 연습을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대변은 평균 생후 29개월 즈음에 가리기 시작하며 소변은 평균 32개월 즈음 가리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아이들마다 대소변 가리는 시기에 차이가 있으므로 너무 조급한 마음을 가지시게 되면 이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악영향을 미치므로 천천히 가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소리를 너무 자주 질러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부모님이 훈육을 하실 때 소리를 지르지 않으셔야 합니다. 아이는 소리 지르지 않길 바라며 부모는 소리 지르는 것을 못 참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훈육의 목적은 혼을 내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행동이 무엇인지 왜 잘못되었는지 가르치고 바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소리를 지르고 무섭게 하면 아이는 이유를 제대로 모른채 공포에 의해 그 행동을 하지 않게 됩니다. 이럴경우 부모에 대한 원망과 불만이 쌓이고 사춘기가 되면 자녀와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습니다. 훈육시 좀더 절제되고 차분한 목소리로 가르치는 모습을 보이시고 아이에게도 소리를 지르는것이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29개월된 아이 말을 너무 안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언어자극을 많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에게 끊임없이 이야기해 주고 질문해 주시고 대답을 하지 못하니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언어자극을 주세요. 그리고 동화책을 많이 읽어 주면서도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이야기해 주시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호명반응이 없는 경우 무조건 자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자폐 스펙트럼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눈맞춤, 호명반응, 감정의 교류 등이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은 범위가 워낙에 넓어서 그것을 딱 기준을 세워서 정의를 할 수는 없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걱정을 할 수 있습니다. 호명반응이 없어 걱정이 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