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이진광 전문가
등단시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의 항복 직후 일본인들의 삶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상황은 어려웠습니다. 미리 일본으로 도망을 못간 일본인은 사람들의 약탈 강간 등의 보복 행위로 이름도 바꾸고 저멀리 숲속에 숨어 살았다고 합니다. 일본 본토도 황폐하 방사능 등으로 많은 고통이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의 철도는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 9월 18일에 개통된 경인선[1]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주요 간선 노선은 이후에 일본을 중심으로 한 열강의 침탈로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6년간 일본에 점령당하며 군사·정치적 목적에 의해 생겨났다. 이후 주권을 찾은 뒤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세웠지만 극빈한 후진국이어서, 유엔·미국 등에서 차관을 들여와 일부 간선을 건설하고 철도 차량을 수입했다.1960년대~1970년대 산업화 시대까지만 해도 철도는 자동차·항공운송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객·화물수송에서의 지위는 확고했지만, 1980년대 들어 시설의 노후화나 서비스의 부재 등으로 심각한 재정 악화와 서비스의 퇴보를 보였다. 그래서 지속적인 노후 시설 대체와 서비스 개선 등으로 모습을 일신하고 있고, 도로수송의 적체나 항공수송의 고운임에 비해 저운임·신속·대량수송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있다.도시철도를 제외한 일반철도는 2004년 말까지 철도청을 통한 국영 체제였고, 2005년부터 지금까지도 한국철도공사에 의한 공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이를 개혁하자는 주장이 나타나 2014년 12월에 수서평택고속선을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SR 운영하는 소위 "경쟁 체제"가 도입되었다. 경쟁 체제 찬성론자는 이것이 경영합리화 작업의 일종이며 차후 서비스의 질이 높아져 이용하기에 편해질 것이라 보지만, 하지만 반대론자는 국가의 기간망인 철도를 여러 기업에서 운영한다면 시설물 구입이나 직원 채용 등에서 예산을 추가로 사용하게 되므로 되려 낭비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1899년에 현재의 서울 지역에서 개통한 서울전차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대도시들에는 도시 철도라고 불리는 자체적인 철도 교통망을 갖추게 되었다. 1974년에는 서울특별시에, 1985년에는 부산광역시에, 1997년에는 대구광역시에, 1999년에는 인천광역시에, 2004년에는 광주광역시에, 2006년에는 대전광역시에 개통되었다. 2020년 10월 현재 수도권 전철은 22개의 노선이(인천 도시철도 포함), 부산 도시철도는 6개의 노선이, 대구 도시철도는 3개의 노선이, 광주·대전 도시철도는 각각 1개의 노선이 운행 중인데, 도시의 수송력을 분담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산대첩이 왜 대단하다고 평가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산 대첩은 소규모의 부대로 대규모의 일본인을 격퇴하면서 임진왜란의 종점을 찍은 전투입니다. 그 정도 소규모 부대로 그정도 대승 거둔 기록이 다른나라에 없고 그때 사용된 전술이 미국 교과서 등 채택 되어 많은 국가 해군이 그 전략을 배우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나폴레옹이 초기에 연전연승한 잔략전술은 무엇이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화포 포병에 아무런 기대가 없었고 거기에 대응할만한 전략체계가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ㅎ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에서 유명한 몬자야키는 어떤 음식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몬자야키'는 도쿄의 '시타마치'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타마치'란, 바다나 강에 가까운 저지대에 위치하는 구역으로, 비즈니스 지역이나 환락가와는 달리 인구 밀도가 높은 상공업 지역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택이 늘어서 있는 서민적인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몬자야키의 기본 재료는 밀가루, 소스, 육수를 섞어 만든 반죽. 그 위에 양배추와 해물, 고기 등을 올려 철판에서 조리합니다..몬자야키를 만드는 데는 약간의 요령이 필요합니다. 일단 사전 준비부터. 철판을 가열하여 기름을 얇게 두릅니다. 육수와 건더기가 들어간 몬자야키 그릇의 내용물을 잘 저어줍니다. 철판이 충분히 달궈지면 드디어 굽는 작업에 돌입. 재료를 철판 위에 올려 양배추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볶아줍니다. 이때, 주걱으로 재료를 잘게 썰어가며 볶으면 나중에 먹기 편해집니다. 잘 볶아졌다면 도넛 모양처럼 가운데가 뚫린 토대를 쌓습니다. 이것이 포인트!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모양을 잘 다듬어 놓지 않으면 육수가 흘러나올 수 있으니 주의합시다. 도넛 모양이 완성되면 가운데 구멍에 그릇에 남겨 두었던 육수를 부어 넣습니다.육수를 붓고 나서 내용물이 끓을 때까지 기다립니다. 끓어오르면 도넛 모양 토대를 무너뜨리면서 끈기가 생길 때까지 전체를 섞어줍니다. 마지막으로 얇게 펴면 완성! 작은 주걱으로 철판에 밀듯이 반죽을 떠서 드시면 됩니다. 매우 뜨거우므로 조심하세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강점기에 일제 군수산업에 조선인들을 사용했는데 어떠한 처우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국민 일본 군인이 귀하니 강제로 한국인을 잡아다가 전쟁터에 보내고 포탄 등 제조에 부려먹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강원도에는 왜 산천어가 유명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원도가 거주 인구도 적고 산이 많고 자연 관리가 다른 지역보다 엄격해서 1급수가 많고 산천어 같은 귀한 어종이 많기 때문입닏.ㅏ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행정구역인 8도의 유래가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기도경기도(京畿道) = 서울 경(京) + 경기 기(畿)경기도는 도시의 앞 글자를 딴 이름이 아니야. ‘경기’는 ‘서울을 둘러싼 문지방’이라는 뜻이래. 즉, 서울 주변 지역을 말하지. ‘경기’라는 이름은 고려 시대인 1018년(현종 9년)에 처음 사용되었어. 경기도를 나타내는 다른 이름은 ‘기전(畿甸)’인데, 두 글자 모두 서울을 중심으로 500리 안의 땅을 뜻해. 강원도강원도(江原道) = 강릉(江陵) + 원주(原州)조선 시대인 1395년(태조 4년)에 ‘강원’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어. 팔도는 각각 다르게 부르는 이름이 있는데, 강원도는 ‘영동(嶺東)’ 또는 ‘영서(嶺西)’라고 불러. 이때의 ‘영’은 강원도에 있는 높은 고개인 대관령(大關嶺)의 ‘산봉우리 영(嶺)’ 자에서 가져온 말이야. 영동과 영서는 글자 그대로 대관령의 동쪽 또는 서쪽에 있다는 뜻이지.충청도충청도(忠淸道) = 충주(忠州) + 청주(淸州)고려 시대인 1106년(예종 1년)에 정한 행정 구역인 ‘양광충청주도’에서 처음으로 ‘충청’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어. 양광충청주도에는 지금의 경기도 남부, 강원도 일부, 충청도 대부분의 지역이 포함되어 있어. 충청도를 나타내는 다른 이름은 ‘호서(湖西)’인데, 호서의 ‘호’는 ‘호강(湖江)’에서 가져온 말이야. 충청도와 전라도 사이를 흐르는 금강의 옛 이름이 바로 호강이지. 그러니 호서란 금강의 서쪽에 있다는 뜻이야.평안도 평안도(平安道) = 평양(平壤) + 안주(安州) 조선 시대인 1413년(태종 13년)에 ‘평안도라’고 부르기 시작했어. 평안도는 다른 이름으로 ‘관서(關西)’라고 불렸는데, 철령관(鐵嶺關)의 서쪽을 뜻해. 철령관은 철령이라는 높은 고개에 있는 ‘관(關)’인데, 관은 군사적 요충지에 세우는 요새를 말해. 함경도 함경도(咸鏡道) = 함흥(咸興) + 경성(鏡城)함길도, 영길도, 영안도 등으로 불리던 지역이 1509년(중종 4년)에 ‘함경도’로 바뀌었어. 다른 이름으로 ‘관북(關北)’으로 불렸는데, 관서처럼 철령관의 ‘관(關)’ 자를 따온 말이야. 전라도 전라도(全羅道) = 전주(全州) + 나주(羅州) 고려 시대인 1018년(현종 9년)에 처음으로 ‘전라도’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어. 그전에는 강남도, 해양도라고 불렀고, 조선 영조 임금 때는 전광도라고도 불렀어. 전라도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은 ‘호남(湖南)’이야. 호서와 마찬가지로 금강의 옛 이름인 ‘호강(湖江)’에서 따온 말로, 금강의 남쪽을 뜻해. 황해도 황해도(黃海道) = 황주(黃州) + 해주(海州)조선 시대인 1417년(태종 17년)에 ‘황해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어. 광해군 때 황연도로 바뀌었다가 다시 황해도가 되었지. 황해도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은 ‘해서(海西)’야. 해(海)’가 해주를 뜻한다는 말도 있고 예성강 하구를 뜻한다는 말도 있는데, 예성강 하구라는 쪽이 더 유력하대. 바다와 만나는 예성강 하구 서쪽에 있다는 뜻이지.경상도 경상도(慶尙道) = 경주(慶州) + 상주(尙州) 고려 시대인 1106년(예종 1년)에 정한 행정 구역인 ’경상진주도’에서 처음 ‘경상’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어. 그러다 1314년에 ‘경상도’가 되었고, 1407년에 좌도와 우도로 나누어 낙동강 동쪽을 좌도, 서쪽을 우도라고 했대. 경상도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은 ‘영남(嶺南)’이야. ‘조령(鳥嶺)’의 남쪽에 있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지. 조령은 우리말 ‘새재’의 한자어로,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이야. 그만큼 높다는 얘기지.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문경 새재를 말해.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태종은 어떻게 해서 왕위에 오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 조선 개국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다 · 3 개국 후의 위기부터 제1차 왕자의 난까지 · 4 제2차 왕자의 난을 거쳐 왕위에 즉위하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우리나라 행정구역인 8도에는 북한도 포함이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전국 8도로 나뉘었고 북한도 포함이 되어 있다고 했지만 현재는 모르겠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