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노래를 잘 부르는 구체적인 훈련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것 처럼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서는 발성 연습을 잘해야 하는것도 있지만호흡법도 중요 합니다. 그리고 노래는 가사 전달이 필수 이기 때문에아무래도 발음을 정확하게 내는 연습도 필요 하기 때문에 많이 연습을 하여야 합니다.그리고 감정을 전달하는 연습도 필요 합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스우파3 6화 탈락배틀노래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그래도 영상이라도 첨부를 하는것이 노래를 알수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스우파를 보질 않는 사람은 어떤 장면에 어떤부분인지 알수가 없으니까요.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공연 예매할 때 실패 확률 줄이는 방법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티케팅을 하기가 참 힘든데요. 저 같은 경우는 피시방에서 할때 조금은 더 티켓팅을 잘할수가 있더라구요.피시방에서 핸드폰과 같이 하는것도 좋은것 같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황성옛터' 앨범은 얼마나 팔렸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제가 알고 있기로는 그 당시에 이애리수가 발표한 음반을 판매하는 것에 대한 집계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정확한 판매량을 할수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레코드 판매 집계는 거의 1980년대 부터시작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한국가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어떤 변천사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1950년대 같은 경우는 일본 영향을 많이 받은 트로트가 유행을 하기 시작을 하였고그 다음에 1960년대 같은 경우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서 번안곡이나 여러 나라의 노래를 번안해서 부르는것이 유행을 하였습니다.1970년대 같은 경우는 통기타 음악이 발전을 하여서 민중가요나 팝 등이 유행을 하였으며1980년대는 발라드와 댄스 음악이 조금씩 나오기시작하였고1990년대는 힙합이나 알앤비 같은 종류의 음악이 2000년대는 테크노 음악이 유행을 하였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미래 사회에서 연주자가 되는 것은 비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참 어려운 질문인것 같습니다. 앞으로 AI 시대에 맞춰서 본다고 하면 예술 분야도 괜찮을수 있습니다.하지만 미래는 알수가 없기 때문에 어느것이 맞다 맞지 않다라고 단정지을수는 없지만전 개인적으로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하지만 가는 과정이 아이와 부모 역시도 감내를 해야 하는 부분들도 있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5년 전에 스트레스 쌓여서 드럼을 3개월정도 배운 적이 있는데, 정식으로 배우려면 얼마나 배워야 기본은 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5년 전에 그만큼하셨으면 거의 초보와 다름이 없기 때문에 제가 보기에는 새로 시작 한다는 마음으로 하시는 것이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하나 마스터를 한다고 하면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걸린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리메이크 앨범을 내게되면, 수익금은 어떻게 나누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보통 리메이크를 할때 원곡자나 혹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분과 상의를 해서 배분에 관련된 서류를 작성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돌아가신 분의 노래라고 해도 사후 70년까지는 저작권을 인정해주기 때문에상속을 받는분과 상의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앞으로 전개될 케이팝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아직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현재 K-Pop 위상은 전세계적으로 점점 올라가는 추세 이기 때문에 몇 년 동안은 그래도 세계적으로 널리 유행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거기에 맞는 퀄리티의 음악이 나와야 하는 것들이 바탕이 되면 조금 더 길게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음악
2개월 전 작성 됨
Q.
무료로 개방되는 문화 시설의 시설 유지 보수나 인건비 등 운영에 필요한 비용은 어디서 부담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제가 알고 있기로는 문화 관련된 곳들은 각 지자체에서 관리가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박물관 같은 경우는 어느 박물관이냐에 따라서 나라에서 관리 하는것도 있고 각 시나 광역시에서 관리 하는곳들이 있는데요. 그러한 비용들은 1년 예산을 편성을 해서 관리비를 내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