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오형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아이가 7살인데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가정의학과나 비뇨기과를 먼저 방문하셔서 아이에게 혹여나 신체적 이상이 없는지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어찌보면 습관이기에 아이에게 배변의사를 확인하면서 습관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아기가 잠을 잘못자는데 잘자게 하는법 아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달의 신생아는 2~3시간마다 한번씩 깨는게 일반적인 상황이 맞습니다. ^^;; 이제 세상에 태어나 적응하는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이런방법들이 도움이 될것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4일 작성 됨
Q.
육아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많이 보는 책들은 삐뽀삐뽀119나 초보육아일기와 같은 도서들입니다. 서점에 한번 방문해서 맞는 책을 살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일상에서 아이에게 화를 내지 않고 훈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이나 노하우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훈율을 하심에 있어서 체벌이나 큰소리가 능사가 아니라는것을 인지하고 아이를 조금씩 바꿔가는것으로 생각해 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아이가 소리지르면서 울 땐 어떻게 진정시켜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공공장소에서 아이가 울때 부모는 참난감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개인적으로 당장은 아이가 원하는것을 들어주고 그 상황에 대해 아이가 진정되고나서 이야기를 시도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아이가 옆에서끊임없이 묻는데 대처법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아이는 질문과 답변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고를 확장해 나가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아이가 의미없아 많은 질문을 한다고 생각한다면 아이와 해당부분에 대해 툭 터놓고 이야길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7세의 아이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가능한 나이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둘째는 첫째와 나이차이는 어느정도가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사실 적정에 대한 연령은 주관적인 부분이기에 명확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살차이가 서로 커갈때 친구처럼 지낼 수 있기에 좋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2살 정도의 차이를 선호하기는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을 옮기기전에 우선 순위로 확인해야할 사항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집하고 가장 가까운곳을 고르는게 중요합니다. 이어서 확인할것은 원장선생님의 교육관을 확인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2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배려심을 가르치르는 가장 좋은 훈육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배려는 훈육으로 키울 수 있다기 보다는 반복된 습관으로 내재화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여 미러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부모님이 나서서 배려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봉사활도을 해본다든지 후원을 활동을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2일 작성 됨
Q.
5살 아이 설사가 3일째 계속되네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감기기운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장염증상이 온것일 확률이 높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죽을 먹여주셔야 겠고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에 빠르게 내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