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성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성화 전문가입니다.

전성화 전문가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입이 쓰고 혀의 느낌이 둔해진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 증상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구강작열감증후군 같습니다.구강작열감 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은 입안에 불덩이를 물고 있는 것처럼 혀가 타는 듯이 화끈거리고 아픈 질환입니다. 입 안에 상처가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특별한 이유도 없는데 혀나 입 안 점막, 입천장이 얼얼하면서 몹시 아픈 상태가 지속되거나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겉으론 멀쩡하지만 통증이 하루 종일 이어지는가 하면, 입 안에서 벌레가 스멀스멀 기어가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쇠 맛이 나는 등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립니다.이 질환은 일상생활에서 어느 정도의 불편을 초래하기는 하지만 암으로 발전하지 않으므로 우선은 안심하고 마음을 편하게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 평소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하고 차가운 얼음을 자주 입안에 물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평소에 물을 자주 마시고, 건조한 환경에서 일을 한다면 특히 신경 써서 하루 물 섭취 권장량인 1.5~2ℓ(종이컵 10잔 이상) 이상의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하지만 커피, 녹차, 탄산음료, 국 등은 수분 섭취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경과는 만성적이지만 특별한 치료 없이도 2~3년 후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구강작열감증후군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통증이 심하다면 통증에 대한 치료를 우선으로 하는데 진통제나 세로토닌 활성화시키는 약물을 쓰기도 하고 진정제 등 정신과 약물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통증이 심하거나 더 검사를 받고 싶다면 치과병원의 구강내과를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돈가스 먹다가 이가 부분 깨졌습니다. 무조건 신경치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딱딱한 튀김을 먹다가 이가 부분 깨졌군요.겉에 부분만 살짝 깨졌다면 깨진부분의 범위에 따라 레진, 인레이, 크라운을 할 수 있지만아주 조금깨졌다면 울퉁불퉁한 곳만 살짝 부드럽게 갈아줘도 됩니다.하지만 신경노출이 있다면 이미 오염되었으므로 신경치료를 동반해야 하며 신경치료 후 크라운으로수복해야 합니다.현재 상태가 어떤지 정확히 알기 위해 치과에 가서 검사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자고 난후 왜 갑자기 입천장이 부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천장이 부어서 걱정이시군요.입천장이 부은 이유는 치아 뿌리의 염증으로 생긴 것일 수 있고 단순히 컨디션이 안좋아서 입천장 잇몸이 부은 것일 수 있습니다.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없어지지 않고 통증이 있다면 치과에 가서 입천장이 부은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찾아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임플란트 수술을 왼쪽어금니상악3개,오른쪽2개후 섭취가능음식?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임플란트 식립 후 음식섭취를 못해서 고생이시군요.상악 임플란트 식립한 경우 임플란트와 뼈가 붙는데 까지 4~6개월 소요되기 때문에 어금니 없이 이 기간동안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것은 매우 고통스러운 일입니다.뼈이식이 안된거라면 임플란트가 어느정도 아물었을 때 임시부분틀니를 제작해줄 것이므로 치과에 다음 치료계획을 물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잘 때 입안이 바싹 마르고 갈증이 나서 깨게 됩니다. 노화인가요? 질병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잘 때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서 불편하시군요.사람이 깨어있을 때 분비되는 침에는 자극성타액과 비자극성타액이 있는데잠을 잘 때는 자극성타액은 분비되지 않고 비자극성타액만 분비됩니다.이 비자극성타액의 분비량이 줄어들어 입이 건조한 것이고 타액분비가 현저히 줄어든데에는 일반적으로 구강건조증을 의심할 수 있지만 구강건조가 심하고 안구건조가 심하다면 쇼그렌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우선적으로 구강건조증은 구강내과에서 진료받으시면 되고 이 곳에서 쇼그렌증후군이 의심이 된다면 내과로 의뢰를 해 줄 것입니다.구강내과는 치과대학병원에 있거나 가끔 네이버에 치면 구강내과치과의원으로 나오기도합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