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아이돌의 인기가 많아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아이돌의 인기가 많아진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이유는 K-POP이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면서 한류 열풍이 일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특히, 2000년대 이후로는 소녀시대, 원더걸스, 2NE1, 빅뱅, EXO, 방탄소년단 등의 그룹들이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아이돌 문화가 대중화되었습니다.한국의 아이돌 그룹들은 노래뿐만 아니라 춤과 무대 퍼포먼스, 패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통해 강한 팬덤 문화를 형성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아이돌 그룹의 매력을 더욱 높였고, 팬들의 열정과 참여로 이어졌습니다.또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공유와 홍보가 더욱 쉬워졌습니다. 팬들은 SNS를 통해 아이돌 그룹의 활동과 소식을 빠르게 접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홍보 효과가 아이돌 그룹의 인기 상승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한국의 문화 산업이 성장하면서 아이돌 그룹의 수요도 높아졌습니다. 한류 콘텐츠의 수출액은 연간 10억 달러 이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이돌 그룹도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인 요인도 아이돌 그룹의 인기 상승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Q. 13대 대통령 선거때 김영삼 김대중은 왜 단일화를 못했는지?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은 민주자유당과 민주통합당을 대표하는 후보였습니다. 이전 선거에서는 민주당과 신민당이 대표하는 후보들이 단일화하여 출마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과 민주통합당이 단일화를 이루지 못하고 출마하게 되었습니다.그 이유는 당시 민주자유당과 민주통합당의 다양한 이해차와 불화 등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갈등은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도 지속되었으며, 각 당은 서로의 입장에 합의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이전 선거에서 단일화한 결과가 괜찮은 결과를 가져온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도 단일화를 이루지 않았습니다.결국 김영삼과 김대중은 경쟁하는 후보로 출마하여 대선을 치루게 되었고, 김영삼이 당선되어 대통령직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단일화를 이루지 못한 것은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큰 갈등과 이슈가 되었으며, 이후 선거에서는 정치적인 합의를 통해 단일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Q. 12지신은 중국 한국 일본 동북 아시아의 공통 문화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지신은 중국, 한국, 일본 등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화입니다. 각 지역에서는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유래와 이야기 등도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서로 비슷합니다.12지신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 중 일부는 중국의 종교인 도교나 유교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별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12지신의 구성은 대부분 동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12년 주기의 달력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 해는 특정 동물의 해로 불리기도 합니다.한국에서는 12지신이 하늘에서 내려와 각자의 역할을 하며 사람들을 보호한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12지신 중 하나인 개띠 해를 기준으로 띠 별로 운세를 점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중국에서는 12지신이 한 해의 운세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동물이 가지는 특성을 따라 성격이나 인생의 운명 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일본에서는 12지신이 "주년(としめ)”이라고 불리며, 중국과 같이 12년 주기의 달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12지신을 '진노시', '기노에' 등으로 불리며, 각각의 동물은 운세와 인생의 특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12지신의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지만, 중국의 종교나 별자리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Q. 토사구팽은 어떤 고사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사구팽(土士九輦)"은 고려 말기에 쓰여진 윤관(尹瓘)의 시 "동국이람"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토사"는 땅에 기반한 이들을 뜻하고, "구팽"은 고려시대의 관리 체계에서 하급 관리 계급을 뜻하며, "구팽"은 9개의 계급으로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따라서 "토사구팽"은 땅과 백성에 근거한 하급 관리 계급을 의미합니다.한자로 쓰면 "土士九輦"으로, "土"는 땅, "士"는 인재, "九"는 아홉, "輦"은 나루입니다."토사구팽"은 고려시대 하급 관리 계급의 한계와 어려움을 표현하기 위해 윤관이 지은 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시에서는 하급 관리 계급인 "토사구팽"이 어려움과 역경을 극복하며 충성심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토사구팽"은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는 인물에게 사용되는 말로 자주 쓰이게 된 것입니다. 현재에는 이 말이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어려움을 극복하는 용기 있는 인물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모습을 보이는 인물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Q. 오가작통법은 구체적으로 어떤법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가작통법은 조선 시대에 시행된 법 중 하나입니다. 이 법은 대상에 따라 5가지의 계급(오방)을 나누고, 각 계급이 특정한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범위를 규제하는 법이었습니다. 오방이란 농민, 수공업자, 상공업자, 기술인, 노비 등 5가지 계급을 의미합니다. 이 법은 상공업자들의 자본 축적을 억제하고 농민과 수공업자들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오가작통법은 1413년에 제정되었으며, 이후 몇 차례 개정되면서 19세기 후반까지 시행되었습니다. 이 법은 계급 사회적 체제의 유지와 농민들의 생활 보호 등을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나, 상공업자들이 제한적인 활동을 해야 하다보니 상업 발전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하지만 오가작통법은 조선 시대 한국의 상업 발전을 막았지만, 그래도 상업 활동은 일부 지역에서는 활발히 일어났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외국과의 주고받음으로 인해 상업 활동이 증가하면서 오가작통법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오가작통법은 조선 시대 상업 발전의 제한적인 요인 중 하나였지만, 한국의 상업 발전을 막지는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