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미크론이 코로나의 종식 신호일수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숙주세포에 들어가 복제를 통해 증식을 하게 됩니다.이 복제과정에서 동일하게 복제되는게 아닌 조금씩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이 과정에서 나타나는게 변이 바이러스입니다.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려변이로 지정된 변이형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오미크론으로 총 5가지가 있습니다.그동안 델타변이가 가장 전염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최근에 발견된 오미크론은 현재까지 상황으로 봤을 때는 치명률(치사율)은 기존 바이러스보단 낮은 것으로 보이지만 오미크론이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32개로 델타변이보다 2배 더 많이 돌연변이가 생겨난 형태이기 때문에 더욱 전염력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이렇게 전염력은 높지만 치명률이 낮다면 코로나의 위협이 감기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종식에 가까워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또한 기존 백신이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변이바이러스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현재 백신 개발 제약회사들 모두 이러한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밝혔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오미크론이 코로나 종식을 의미한다는 건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숙주세포에 들어가 복제를 통해 증식을 하게 됩니다.이 복제과정에서 동일하게 복제되는게 아닌 조금씩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이 과정에서 나타나는게 변이 바이러스입니다.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려변이로 지정된 변이형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오미크론으로 총 5가지가 있습니다.그동안 델타변이가 가장 전염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최근에 발견된 오미크론은 현재까지 상황으로 봤을 때는 치명률(치사율)은 기존 바이러스보단 낮은 것으로 보이지만 오미크론이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32개로 델타변이보다 2배 더 많이 돌연변이가 생겨난 형태이기 때문에 더욱 전염력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이렇게 전염력은 높지만 치명률이 낮다면 코로나의 위협이 감기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종식에 가까워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또한 기존 백신이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변이바이러스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현재 백신 개발 제약회사들 모두 이러한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밝혔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Q. 오미크론이 델타보다 덜 위험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숙주세포에 들어가 복제를 통해 증식을 하게 됩니다.이 복제과정에서 동일하게 복제되는게 아닌 조금씩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이 과정에서 나타나는게 변이 바이러스입니다.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려변이로 지정된 변이형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오미크론으로 총 5가지가 있습니다.그동안 델타변이가 가장 전염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최근에 발견된 오미크론은 현재까지 상황으로 봤을 때는 치명률(치사율)은 기존 바이러스보단 낮은 것으로 보이지만 오미크론이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32개로 델타변이보다 2배 더 많이 돌연변이가 생겨난 형태이기 때문에 더욱 전염력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다만 델타와 오미크론 중에서 어느 변이 바이러스가 더 위험한지에 대해서는 오미크론이 발견된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알기 어렵습니다.또한 기존 백신이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변이바이러스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현재 백신 개발 제약회사들 모두 이러한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밝혔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