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당신을 위한 과학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당신을 위한 과학 전문가 입니다.
정우재 전문가
퓨쳐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공학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화학 공학 공부의 세부과목은 뭐가 있나요?
화학공학에 대한 세부 전공과목은 1)공정설계 2)반응공학 3)화공열역학 4)단위조작 5)일반화학 6)분석화학 등이 있습니다. 두루두루 공부하는 것이 좋으나 공정설계, 반응공학, 열역학, 단위조작은 주로 수치적인 부분이 많이 요구됩니다. 하여, 공학계산기로 익숙해지는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화학분야에서 유명한 과학자가 누가있나요?
화학분야에서 유명한 과학자 한분을 뽑으라고 한다면, 자는 황우석 박사님을 뽑겠습니다. 줄기세포 연구의 한 획을 그었으며, 논문에 불미스러운 일이 있긴 했지만 줄기세포의 존재를 밝힌 과학자중 하나입니다.그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분들이 계신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4일 작성 됨
Q.
가연성 물질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가연성 물질은 탄화수소계열(아세틸렌, 메탄,에탄,부탄,디에틸에테르,산화프로필렌,이소프로필아민,펜타보란, 산화에틸렌, n-헥산, 벤젠,톨루엔,메틸에틸케톤,피리딘, 에탄올,메탄올)과 수소계열(수소,황화수소,암모니아) 등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것 같아요.
화학공학
2024년 6월 14일 작성 됨
Q.
위험물 종류 중 석유류 제품들은 어떤 위험물에 속하나요?
석유는 제 1류부터 4류까지 화학적인 정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러한 석유 4종은 인화성 액체로서 위험물 4류에 포함되어 관리되는점을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4일 작성 됨
Q.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다고 했는데 왜 그런 건가요?
화학적으로 보면,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계면활성제라고 하는 성분들을 사용하면 물과 기름이 섞이기도 합니다. 물과 기름이 조화롭게 섞인 식제품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유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이와 같은 제품들은 에멀젼 상태에 있다고도 합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물과 기름은 절대 섞을 수 없는것은 아닐지도 모릅니다. 질문자님의 궁금증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4일 작성 됨
Q.
화학공학은 남성과 여성 전공자의 비율이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남성의 비율이 많을것 같지만,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요즘은 대부분 공학계열로 지원을 하는 추세도 있어 성비가 같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남성의 비율이 많은것은 학과 특성상 공장이나 혹은 그런 곳으로 취업하는 경우도 많고 공학계열 자체가 과거에는 인식의 차이때문인지 여성 분들의 지원율이 높지는 않았던 차이가 있었던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인식이 바뀌어 성비가 비슷해져가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었나요?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의 원인중 하나로 손꼽히는데요. 이러한 플라스틱을 환경 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로 개발하고 있는 것은 그리 최근 이야기는 아니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생분해가 되는 소재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연구는 이미 꽤 진행되었고 상용화까지 되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화학 공학과를 나오면 딸수 있는 자격증은 어떤것이 있나요?
화학공학과는 많은 분야에 연관성이 높아 다양한 자격증에 있어서 지원자격을 가지게 됩니다. 화학에 관련된 자격증이라면 화학공학 기사 자격증부터 시작하여 화학분석기사 자격증 등 정말 많은 분야의 자격증이 존재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것 같아요. 분야가 다양한 만큼 세밀하게 나뉘어서 수질분석기사 자격증과 같이 하나하나 특수한 분야에 맞는 자격증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니 그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화학공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화학반응으로 재미난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을 알려주세요.
제가 어릴적에 인상적으로 생각했던 화학실험은 베이킹소다와 식초가 만나 이산화탄소가 생기는 기포 실험이었습니다. 페트병에 베이킹 소다를 넣고 식초를 만나 발생하는 기포 발생은 저에게 큰 화학적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죠. 최근에도 그런 실험들은 흔히 접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 내용들이 잘 설명되어 있는 블로그 링크를 하나 기재해두겠습니다. 놀이를 구상하시는데 큰 도움은 아니지만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블로그 링크: [과학놀이] 베이킹소다+식초 화학실험 이산화탄소)
화학공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촉매 기술이란 어떤것인지 알기쉽게 알려주세요
촉매라는 것은 본인은 화학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지만 반응의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이 오래걸리는 반응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최근에는 반응속도 뿐아니라 반응에 대한 안정도를 높이는 물질도 있고 정말 다양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궁금해하시는 촉매의 종류에 대해 말씀해주시면 관련 문헌을 찾아 추가적으로 알려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