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멀미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뇌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먼저 몸이 어떤 자세를 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온몸의 감각과 근육뼈대계통에서 정보를 받은 후, 귀 내부에 위치한 균형 수용체를 사용해야 한다.예를 들어, 핸드폰 등 정지된 화면을 움직이는 차 안에서 바라보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눈과 근육에서 수집된 정보는 서로 일치하지 않아 뇌에 혼란을 초래한다. 즉, 실제로는 차를 타고 이동 중이지만, 뇌는 우리의 몸이 정지한 상태라고 느끼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귀의 반고리관은 예민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멀미의 대표적인 증상인 ‘어지럼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Q. 심근경색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동맥경화증의 위험 인자인 당뇨, 고혈압, 고지질 혈증, 가족력, 비만 등을 적절히 조절하고 정기적으로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약 50%는 이전에 아무런 증상이 없던 건강한 환자들이며, 나머지 50%는 협심증 증상이 있던 환자들입니다. 어떤 환자는 수일 전에 시행한 건강 검진에서 운동부하 검사나 핵의학 촬영 검사 등에서 이상이 없다는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여 억울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이 예고 없이 찾아오는 이유는 이것이 혈관 내경이 그다지 심하게 좁아져 있지 않은 부위에서 잘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즉, 급성 심근경색증은 혈관내경이 50% 이하인, 별로 심하지 않은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급성 심근경색증의 발병 위험 부위를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인자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 즉 흡연, 당뇨병, 고콜레스테롤 혈증, 비만, 가족력 등이 있는 사람은 이러한 위험 인자를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일단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은 스텐트 시술이나 관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하였더라도 일반인보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발병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철저하게 예방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