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조진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진우 전문가입니다.

조진우 전문가
화학
화학 이미지
Q.  햇빛을 보지 않으면 면역력이 떨어진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햇빛에 의해 체내의 프로비타민D(비타민D전구체)가 비타민D로 변형이 되게 됩니다.이때 야외활동 부족이나 여러 이유로 비타민D가 권장 수치보다 결핍될 경우비타민D에 의한 결핍증상들이 나타나게됩니다.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던것이 뼈건강과 관련되어 있는것이었는데요.최근에는 연구결과를 통해 비타민D가 부족할 경우 면역저하로 인해, 질병이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저널의 Vitamin D deficiency 2.0: an update on the current status worldwide 리뷰 논문에 나와있는 내용을 인용해봅니다."Severe vitamin D deficiency with a 25(OH)D concentration below - 논문 내용중 -위 내용에서처럼 비타민d가 부족하면 면역저하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타민d 부족을 해결해야 정상적 면역 유지에 도움이 될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약국에 비타민d와 관련된 영양제들이 있으니 상담 후 구입하시고 복용하시면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조진우 드림.
화학
화학 이미지
Q.  백신은 왜 차가운 곳에서 보관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일반적으로 백신은 보관조건이 '냉장' 조건으로 2~8℃ 조건에서 보관하게 됩니다.하지만 백신마다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들이 다를 수 있어서백신을 개발하고 만드는 제약회사에서 연구를 통해 가장 안정한 최적의 조건을 연구하게 됩니다.이번에 코로나 백신으로 백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도가 높아졌습니다.최근 코로나 백신과 관련해서 여러 제약회사들에서 코로나 백신을 생산하였고회사마다 보관조건이 다른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특히 화이자 백신의 경우 영하 70도 이하에서 유지해줘야 최대 6개월 보관 가능하고, 백신을 투약하기 이전에는 냉장고에 보관기간이 5일, 상온에서 2시간 이라고 안내했습니다.백신마다 이와 같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백신이 안정한 상태로 전달하기 위한 조건을 연구한것을 바탕으로 합니다.결론적으로 백신 물질 자체가 온도에 따라 안정성이 다르다는 점과 제약회사에서 백신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보관조건이 달라지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냉장이기 떄문에 다른 주사들보다 차갑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술과 탄 음식 중 무엇이 더 발암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발암물질 과 관련해서IARC( 국제암연구기관,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의 연구에 따라 그룹화 에 따릅니다.질문주신 탄 음식과 술에서 발암을 유발하는 것은탄 음식 중 Benzopyrene 이라는 물질이고 술은 alcohol 입니다.위 물질들은 둘다 IARC에서 규정하기를 IARC group 1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즉 두 물질 모두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1군 발암물질은 "확실하게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물질"로 정의 되어 있어1일 섭취량 등이 엄격히 관리되는 물질들입니다. IARC는 물질들에 대해 코호트 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여 물질과 암 발병에 대한 연관성을 두기 때문에 하루 섭취량에 따른 Cancer potency는 비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두 물질들에 대해 섭취 혹은 흡입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다를 수 있어 무엇이 더 위험한지에 대한 비교는 어렵고 두 가지 모두 발암물질 1군에 속해있기에 조심해야한다 가 저의 결론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약물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세균을 억제하는 항생제 처럼,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바이러스는 세균과는 달리 숙주 밖에서는 따로 생명활동을 안하기 때문에, 항생제의 세균과는 약효 원리가 조금 다릅니다.바이러스는 헥산의 종류에 따라 DNA, RNA 바이러스로 구분됩니다.이때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부착 및 침투하는것을 억제하거나, 숙주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옮겨가는것을 막는 증식 작용을 통해 약으로서기능을 하도록 하는것들이 항바이러스제 입니다.지금까지 개발된 항바이러스제를 보면 독감, 헤르페스, B형간염, C형간염, 에이즈 등이 있습니다.원리로는 뉴러미니데이즈 효소 억제제, 뉴클레오시드, 뉴클레오티드 기반 약물, DNA 중합효소 억제제, RNA 중합효소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원리의 항바이러스제 가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수면 마취를 하면 이상한 말을 하게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조진우 약사입니다.수면마취제 중에 가장 일반적을 사용되는 '프로포폴'이라는 성분의 부작용 때문에 그렇습니다.수면마취제는 약물의 기전이 뇌의 신경전달 물질인 GABA 수용체의 증가를 유도하여 의식의 소실을 초래하면서 마취를 하게 됩니다.원이때 뇌에 작용하는 약이므로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요.그때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 '헛소리' 입니다.이는 투약하면 대부분 나타나는 증상입니다.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의식을 잃게 되기 때문에 무의식중에 말을 하게 되는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1234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