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Q. 브릭스(BRICS)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000년대를 전후해서 경제성장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의 5국가를 일컫는 말입니다.2030년 무렵이면 이들이 세계 최대의 경제권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고, 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개념을 제시한 것입니다. 골드만삭스와 같은 투자사, 자산운용사, 증권사, 컨설팅사들은 물론 직접 투자나 영업활동도 하지만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행하여 어떤 금융시장 전체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기도 하는 보고서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브릭스 용어를 제시한 것 역시 그러한 과정과 활동들의 일부이지요.어떤 의도가 있다기보다는 현재 금융시장과 미래에 대한 예측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해 왔고 앞으로도 그런 활동들을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이러한 것들 중에 사람들에게 널리 인정받고 이슈화가 되면 어떤 경제용어로까지 확립될 수 있는 것이죠.감사합니다.
Q. 안전자산의 개념과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투자성 자산은 크게 보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으로 나뉘죠.안전자산은 현금, 채권, 미달러, 미국국채, 엔화, 독일 국채, 금 등이 꼽힙니다.말그대로 상대적으로 주식같은 위험자산에 비해 변동성이 작고 위험이 작다는 뜻입니다.물론 예를 들어 현금 이외의 이런 안전자산에 투자한다고 해서 원금손실이 무조건 안 난다는 보장은 없지만상대적으로 그렇다는 뜻입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주식과 코인 시장에서 물타기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타기하라는 말은 쉽게 말해서 더 낮아진 가격에 추가매수를 해서 전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라는 뜻입니다.예를 들어 어떤 주식이나 코인이 1만원일 때, 10주를 샀으면 10만원을 투자하신 상태입니다.그런데 이후에 주가가 엄청 떨어져서 5천원이 되었고, 이때 물타기를 해서5천원에 10주를 추가로 매입하시면 5만원을 더 투자하신게 되겠죠. 그럼 전체 내 투자금액은 15만원이고, 수량은 20주, 평균 매입가격은 7천5백원이 됩니다.물타기 이전엔 평균단가가 1만원이었는데 물을 타서 7천5백원으로 떨어뜨리게 된 것이죠.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싸졌을 때 더 사 놔야 평균매입단가가 떨어져서 차후 주가가 회복될 때 빨리 원금회복이 된다는 뜻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