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왕의 명칭 뒤에 조, 종, 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본래 왕이 살아 있을 때는 호칭이 없습니다. 죽고 나서, 종묘에 신주에 모실 때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걸 묘호라고 합니다.일단 군으로 보면, 연산군, 광해군이 있습니다. 이들은 폐위가 된 왕입니다. 군은 왕이 아니라, 왕자 시절 때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리고 왕이 종묘에 모실 때, 그의 업적을 한문으로 한 글자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가령, 어진 임금(어질 인)을 쓰는 인조, 학문이 뛰어난(글월 문) 문종, 효심(효도 효)이 뛰어난 효종, 이렇게요.그런데 이 묘호는 후대에 바뀌는 일도 일어납니다. 조는 원래 그 나라를 만든 왕만 조를 붙입니다. 조선을 만든 태조 이성계, 태조 왕건 이렇게 됩니다. 이건 조선시대 사람들이 종보다 조가 더 권위가 있고, 힘이 있다고 생각을 해서, 조로 바꾸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세조입니다. 이건, 세조가 왕이 되는데 큰 힘을 쓴 예종, 한명회, 정인지가 바꿉니다. 또, 대표적으로 인조가 있는데, 그는 반정을 성공한 왕이어서 인조로 붙혀지게 되었습니다.그리고, 조선 후기로 가면, 영조, 정조, 순조 등 조가 많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