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조한진 전문가
연희에이아이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경제동향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경기가 둔화되면 기업은 어떻게 대응하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론 재고 소진에 박차를 가하고 추가 투자를 줄이며 공급을 줄여가는 것이 한 방법입니다.매출이야 어쩔 수 없이 경기가 안 좋으니 떨어질 수밖에 없고, 대신 공급을 줄여 가격을 관리하는 것입니다.그리고 경기침체가 오고 금리인상기가 되면 부채를 줄이고 몸집을 줄이면서 비용을 축소하고 인건비를 줄입니다.또한 불필요한 사업부를 매각하여 현금을 확보하고 구조조정 및 리스트럭처링을 실행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기술적 반등이 어떤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술적 반등이란 주가가 단기에 급격하게 떨어졌을 때 이에 대한 반발매수로서 좀 오르는 것을 뜻합니다.펀더멘탈이나 전망이 좋아져서 반등이 나온다기보다는 워낙 짧은 시간에 크게 낙폭과대가 되다 보니 저가매수세가 들어오는 것입니다.다만 기술적 반등은 오래 지속되긴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내년 경제가 최악이라고 하는데 어떤거로 그렇게 판단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미 경기침체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작년 여름을 기점으로 거의 모든 자산군의 가격들이 조정받고 있고 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있습니다.이럴 땐 자산 가격이 오르기가 힘듭니다.고금리 예적금의 수혜를 누리면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기입니다.게다가 물가는 여전히 높고 경기는 점점 안 좋아지고 있으며 수출 감소, 무역적자가 심해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투자를 줄이고 직원을 줄이고 있습니다.내년까지는 적어도 보수적으로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국제 사회에서 신뢰가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통 경제학에서는 원화 가치가 떨어져야 수출이 증가하긴 합니다.그러나 자동조정의 원리에 따라 곧 다시 환율이 안정화되죠.그리고 최근에는 기업들이 해외 현지 공장 생산 등이 많아짐에 따라 이러한 전통적인 경제학적 설명이 잘 들어맞지도 않고 있습니다.그리고 질문하신 대로 원화가치가 올라서 수출이 줄어든다 해도 자동조정의 원리에 따라 계속 환율이 떨어지기만 하진 않습니다.게다가 기본적으로 원화가치가 오른다는 것은 말 그대로 원화의 신뢰도 및 가치가 오르는 것이므로 국제사회에서 신뢰가 올라가는 의미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둔촌주공이 국내 경제 미칠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은 둔촌주공같이 대단지 매물이 나와도 워낙 매수 수요가 떨어져 있는 상태입니다.따라서 지금은 대량 매물이 나와서, 공급이 늘어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진다기보다는 금리의 급격한 인상과 이로 인한 이자 부담과 매수수요 실종에 따라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물론 부동산은 떨어지는 속도가 주식같은 것에 비하면 느리지만 이것이 몇년 계속되다 보면 하우스푸어 문제라든지 건설사 경기 악화, 경기침체 가속 등에 영향을 크게 주긴 합니다.감사합니다.
예금·적금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금리와 채권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값은 떨어집니다.금리가 내려가면 반대로 채권값을 올라가고요.금리가 상승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채권의 가치는 떨어져 평가차손이 발생합니다.감사합니다.
예금·적금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세계적인 금리 인상에 동참하지 않는 나라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그동안 워낙 코로나, 부동산 침체 등으로 내수와 경제가 좋지 않았었기 때문에 오히려 경기를 부양시키려는 목적이 큽니다.일본도 오늘 사실상의 금리인상을 얘기하긴 했지만 그동안 계속 올리지 않고 있었죠.터키도 금리를 오히려 내리고 그랬지만 여기는 정치적인 게 섞여있는 것이라 논외입니다.일본과 중국 정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금리를 따라 올리고 있는 추세입니다.감사합니다.
예금·적금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일본의 금리 인상 여파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이 사실상 금리인상을 얘기한 것인데,이렇게 되면 엔화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이에 따라 오늘 원엔 환율 상승, 원달러 환율 하락이 나왔습니다.그동안 긴 세월동안 워낙 저금리였던데다가 시장은 인상을 예상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오늘 더 크게 움직인 것 같습니다.주식에는 단기 악재겠지만 일본은행이 앞으로 얼마나 크게 움직일지에 따라 달려있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대출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내년 23년도에는 소비자물가지수가 안정될 것같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당분간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미국처럼 우리나라도 매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하는데 당분간 5%대 내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물가가 좀 더 내려오고 경기침체가 확연히 나타나야 금리인하가 가능할 것 같지만 적어도 상반기 내에는 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주식을 매도했는데 왜 이틀 후에 돈이 들어오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 주식 결제는 원래 T+2일입니다.금요일에 매도하셨으면 화요일에 돈이 들어옵니다.결제일은 국가마다 다릅니다.예를 들어 미국주식을 국내 증권사 앱을 통해 매매하시면 결제일은 T+3일입니다.또한 주식이 아니라 국내주식형 펀드를 매도하시는 경우엔 T+3일에 결제됩니다.해외주식형 펀드를 매도하시면 이것도 국가마다 다르지만 보통 선진국형 펀드는 T+7~8일 걸립니다.감사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