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가 올 때 강우량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강수량이란 어떤 시간 동안 땅에 떨어지는 비나 눈이나 우박 등을 물로 녹여서 잰 물의 깊이(두께)를 말합니다.20cm 원통형 내부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mm 단위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공간에 각 나라별로 수많은 위성이 존재할건데 사고없이 유지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궤도에 발사하고 있습니다.쓰레기가 랜덤으로 떠돌아다니지 않고 지구 주변을 공전하기 때문에 이 궤도를 벗어난 곳에 위성을 쏘아올리면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블루라이트 차단은 자외선도 차단 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라이트 필터는 청색 빛, 정확히는 380~500nm의 청색 계열의 파장 빛을 줄이는 필터입니다.청색 빛이 눈에 자극을 많이 주기 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 자외선은 그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음식이 발효되서 상하지 않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썩는다 -> 부패라고 한다면발효와 부패는 거의 비슷합니다. 인간에게 이롭도록 미생물이 음식 등을 분해하면 발효이고,악취가 나게 하거나 나쁜 물질을 만들면 부패라고 할 뿐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어컨이 찬바람을 만드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은 액체가 기체로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춥니다. 그리고 이 실내의 열을 모아 실외기로 내보내면서 집 안을 차갑게 만들고 있습니다.냉매가 계속 실내/실외는 순환하며 열을 전달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반 술과는 다르게 왜 와인의 뚜껑에는 코르크마게가 들어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보관의 목적으로 코르크 마개가 처음 사용됐습니다.코르크로 만든 병마개는 탁월한 신축성 및 내구성을 지님과 동시에 액체나 기체가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고 유연하고 신축성이 좋아 병목에 쉽게 삽입되는 특징이 있습니다.코르크 마개는 다량의 공기가 들어와 와인이 산화되는 것을 막으면서 코르크 조직 사이로 미세한 양의 산소가 오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유입되는 덕분에 와인을 천천히 숙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습니다.하지만 요즘엔 일반 스크류 마개를 사용한 마개도 사용되곤 합니다.사용자 인식이 스크류 마개는 싸구려고 코르크 마개는 고급이다 라는 인식이 있어 여전히 코르크 마개가 사용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눈의 왜 흰색인건가요?? 눈이 녹게 되면 물이되고, 물은 투명한 색인데......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흰색인건 얼음결정 때문인데 이 얼음결정은 모든 빛을 반삭합니다.색의 3요소로 조합해보는 걸 기억하시나요? 그걸 생각해보면 모든 빛이 반사되면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판다는 원래 육식동물이었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유력한 설을 보면 고기를 먹을 때 감칠맛을 느끼게 해주는 수용체가 있는데 판다는 이 수용체가 퇴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습니다. 고기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되면서 육식을 그만뒀다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 정보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의 지문도 서로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문 자체는 유전자 정보도 있지만 세포가 분열하면서 사라지거나 태어나면서 배열의 차이도 존재합니다.이 때 주름이 만들어지는 것이 지문인데 쌍둥이라 할 지라도 세포가 분열되면서 만들어지는 그 차이가 지문이 다르게 됩니다.그래서 쌍둥이냐 아니냐보다는 이런 세포 배열이 비슷하게 일어난 사람들 끼리 어느정도 일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가 오거나 비가 그치면 지렁이 달팽이가 많이 보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가 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호흡 때문입니다.지렁이는 피부로 호흡하는데 비가 오면 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호흡하기 어렵습니다.그래서 밖으로 나와 직접 공기를 마시려고 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