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태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태규 전문가입니다.
진태규 전문가
LG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배달해서 온 음식에 랩은 왜 움푹 들어가있나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에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쌀때는 말씀하신상태로 기체 상태에서 랩이 씌워져서 빵빵한 상태로 싸지지만 배달오면서 식으면서 기체로 된 수분이 응축이 되어 액체가 되고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의 부피도 줄어들게 되어 그렇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연필인가볼펜은 왜 우주에서사용못하나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볼펜입니다 볼펜의 원리는 종이에 글을 적을 때 볼에 위쪽에 있는 잉크를 묻혀서 종이에 나오게 하는데 중력에 의해서 잉크가 아래로 내려와야 하는데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서 잉크가 내려오지 않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기초과학이란 건 정확히 어떤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 일반 공학이나 응용과학 따위의 밑바탕이 되는 순수과학인 자연과학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에는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이 있습니다
화학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뜨거운 기름에 물을 넣으면 파파팍 튀는데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에 물이 들어가면 기름과 물이 섞이지 않기 때문에 작은 물방을들이 에너지른 받아 기체로 변하게 되고 기체로 변하게 되면서 부피가 증가되면서 기름이 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물은 100도씨에서 수증기로 변해 기체가 되는데 공기중에 있는 수증기는 100도가 안되는데 어떻게 존재가 가능하죠?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 있는 수분은 물 분자가 붙어 있지 않고 떨어져 있는 상태 입니다 저희가 보는 물은 공기중에 노출된 면과 내부가 있습니다 노출된 면은 수분들이 손을 잡고 있는 갯수가 작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낮거나 온도가 높으면 쉽게 날아갈 수 있습니다. 끊는다는 것은 내부에 있는 물들도 에너지를 받아 잡고 있던 손들을 놓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물 전체적으로 기체가 될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정전기는 왜 일어나는 걸까요? 옷입다가 가끔씩 찌릿하네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말 그대로 전기가 정지해 있는 것 입니다. 보통 마찰을 통해 한쪽에 있는 전자가 다른쪽으로 이동해서 전자가 정지해 있다가 옷을 벗는 동작에서 수분이 있는 몸쪽으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정전기는 수분이 낮은 겨울에 주로 발생하며 수분이 많은 여름에는 발생이 덜 합니다
화학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컵라면 뚜껑에 양념이 묻게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증발할때 물만 증발하지 않고 스프의 미세 가루와 같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가루가 작은 것만 수분이 증발할때 같이 증발합니다 고기를 구울 때 기름 및 냄새 입자가 같이 이동하여 냄새가 나거나 바닥에 기름기가 있는것과 유사한 현상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9월 3일 작성 됨
Q.
에어컨보면 인버터제어라서 전력소모가 적다고 하는데 정확히 인버터가 무슨 역할을 하길래 에너지소비가 적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인버터의 정의는 주파수를 바꾸어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에어컨에는 냉매를 압죽할때 사용하는 압축기가 있는데 여기에 모터를 사용합니다. 에어컨은 실내에서 에너지를 얻고 실외로 에너지를 보내어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리는데 원하시는 온도로 설정하시면 실내에서 흡수하는 에너지를 압축기의 모터 속도 변경으로 최적으로 운영하여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화학
2022년 8월 28일 작성 됨
Q.
110볼트랑 220볼트 차이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110v보다 220v가 효율이 좋아서 전기 손실이 25%정도 줄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73년부터 2005 년까지 무려 32년동안 1조 4000억을 투입하며 변경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결국 경제적 이유 때문입니다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7일 작성 됨
Q.
일기예보에 나오는 너울성파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풍랑과 너울을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풍랑은 말 그대로 바람 때문에 생기는 파도를 뜻한다면, 너울은 현장의 바람이 아닌 먼 바다의 기상 현상이 영향을 주며 만들어진 파도 입니다. 즉 국부적인 저기압이나 태풍 중심 등 기상현상에 의해 해면이 상승하면서 만들어진 큰 물결을 너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너울은 파도 사이의 간격이 길고 파도의 꼭대기가 둥그스름하며 규칙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