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차호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정 전문가입니다.
차호정 전문가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뇌하수체 전엽에서 방출되는 호르몬은?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Thyroid-stimulating hormone(TSH; 갑상샘자극호르몬) - 갑상샘호르몬 합성 및 분비 촉진Follicle-stimulating hormone(FSH; 여포자극호르몬) - 정자 성숙 촉진, 난포 발달 및 에스트로젠 합성 촉진Luteinizing hormone(LH; 황체형성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합성 촉진, 배란, 황체 형성 촉진Growth hormone(GH; 성장호르몬) - 단백질 합성, 전반적 성장 촉진Prolactin(젖분비호르몬) - 유방에서 젖 생산 및 분비 촉진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부신피질호르몬 합성 및 분비 촉진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발에서쥐가 자꾸나요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한 쪽 다리에만 지속적으로 쥐가 나면서 걸을 때 다리가 무겁게 느껴지는 경우 하지정맥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정맥류의 경우 24시간 압박스타킹을 신고 있으면 증상이 약간 호전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확한 감별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흉부외과의원에 내원하셔서 진찰 및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내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감기가 걸렸을 때 항생제 처방이 꼭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상기도감염(감기)의 경우 세균성 감염과 바이러스성 감염의 경우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세균성 감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나 바이러스성 감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불필요 합니다.두 감염을 정확히 진단할 수는 없으나 임상적으로 증상의 차이가 조금 있기에 증상을 보고 항생제 처방을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혈변이 나오는데 무슨약을 써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말씀하시는 증상으로 보아서는 치핵 또는 항문 열상의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대부분의 경우에는 시간이 흐르면 증상이 좋아졌다가 딱딱한 변을 보거나 변을 볼 때 힘을 많이 주는 행위를 하면 재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혹여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항문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혹시 항문쪽 문제가 아니라면 내시경 검사도 필요할 수 있으니 진료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내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면연력을 높이는 방법은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고, 항상 적당량의 식사량을 유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햇살이 좋은 낮 시간에 30분 이상의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운동을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화학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노화를 막기 위해 피를 교체하는게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의학적으로 효과 없습니다.노화라고 하는 것은 인체의 모든 세포가 관여하고 포함되는 것인게 혈액만 젊은 사람의 것으로 바꾼다고 해서 다른 세포들이 젊어질 순 없겠죠?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물을 너무 많이 마시는것도 건강에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너무 많은 물의 섭취는 구역, 구토를 유발할 수 있고 심하게는 저나트륨혈증으로 인한 의식저하, 사망까지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물의 적정 섭취량은 갈증이 나지 않을 정도의 수분을 조금씩 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아스피린은 처방없이 영양제처럼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아스피린은 항응고제이므로 처방없이 구매가 불가합니다. 예전에는 아스피린을 영양제처럼 복용하면 좋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해서 어르신들이 많이 드셨지만 현재는 아스피린을 복용해야 하는 질환이 있지 않은 경우 복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항응고제인만큼 아스피린 복용으로 인한 출형 위험도만 높아지기 때문에 영양제처럼 복용하시는 것은 삼가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내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수술전 항응고제 3일전중단이면 수술당일빼고3일 안먹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보통은 수술일 포함하여 계산하게 됩니다.뇌경색 병력으로 인해 리바록사반을 드시는 것 같은데, 뇌경색의 정도, 약을 끊었을 때의 재발 위험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약을 중단하기 전에 우선 약 처방한 과에 문의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간수치가 높게 나왔는데 결과지 가지고 타병원에서 약처방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검사지 가지고 타병원에서 약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병원 내원 시 필요하다면 재검사 및 추가검사를 할 수 있으며, 약 처방이 대해서는 다른 신체적인 상태나 검사 결과들을 종합해서 의사가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간수치가 높은 경우 우선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