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김승현 전문가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안과
안과 이미지
Q.  3차 부스터샷 증상에 관련..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관련성이 많이 떨어집니다.노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안과에 가셔서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화이자 2차 백신 접종후 유지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최근 미국에서 얀센 백신 접종자 62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얀센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는 올해 3월 88%에서 8월 3%로 5개월 만에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각각 92%에서 64%, 91%에서 50%로 예방 효과가 떨어진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질병청에서 기본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에게 부스터샷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상은 얀센 기본접종을 맞은지 2개월이 지난 사람이고, 면역저하자 2개월이 지나고 우선 실시한다고 했습니다. 부스터샷 추가접종군은 추가 접종을 받지 않은 대상군에 비해 감염 예방효과가 11.3배 높고 중증화 예방효과가 19.5배 높았고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군이 18-55세는 평균 중화능 (억제력)이 5배, 65-85세는 11배 높았다고 합니다. 또한 추가접종의 이상반응 발생은 기본접종 시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아직 대상은 고령층,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또한 부스터샷으로는 mRNA 백신인 화이자, 모더나를 접종하게 되고 1,2 차를 다른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도 같이 적용되어 교차접종이 허용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왼쪽어깨가 찢어질듯 안픈데 정형외과를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근육/인대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정형외과 가셔서 영상검사 필요여부 확인후 진단 받고 치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 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아이 물사마귀가 번지는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물사마귀는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고 남아에게 더 흔히 발생하며 학교, 유치원, 수영장, 놀이터 등 아이들이 많이 모여 노는 곳에서 서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쓴 타올 등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드물게는 성인에게서도 발생하는데 특히 후천성 면역결핍증 환자나 항암 치료 등으로 인해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성인에게 잘 나타난다.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하고는 우리 몸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 얼굴에서도 발견된다. 작고 둥근 구진(1cm 미만 크기의 솟아오른 발진) 형태로 나타나는데 색깔은 살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가운데가 배꼽 모양으로 살짝 들어가 있으며 핀셋으로 따보았을 때 하얀 피지 같은 물질이 나오는 게 특징이다.전염성이 아주 높아서 자기 몸의 다른 부위로 옮기는 소위 ‘자가접종’이 가능하며 아토피 피부염이나 백혈병처럼 바이러스에 대한 피부의 방어 능력을 저하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전신으로 번질 수도 있다. 또한, 더러운 손톱으로 긁는 경우에는 세균이 이차 감염될 수도 있다. 대개는 증상이 없으나 가려움증을 호소하기도 하며 이차 감염이 된 경우 압통을 호소하기도 한다.사마귀와 마찬가지로 예방은 쉽지 않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다녀온 뒤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하게 씻도록 하며 이미 생긴 경우 손톱을 짧게 깎고 병변에 손을 대지 않음으로써 더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자연히 없어질 수 있지만(대개 6~9월에서 길게는 수년) 몸 여기저기 번지거나 가려우며 이차 감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가능하면 빨리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개 되지 않을 때 제거해야 더욱 손쉽고 고통 또한 덜하다.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소독된 ‘핀셋’으로 병변 하나하나를 따 주는 것인데 가정에서 직접 하기에는 위생적인 문제도 있고 또 기술적으로도 어렵기 때문에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물사마귀를 따주는 시술이 생각만큼 쉬운 것은 아니다. 가능한 통증이 적게 그리고 빨리 효율적으로 따주는 숙련된 술기가 필요하다.따줄 경우 흉터가 남지 않을까 하는 염려를 하는 부모들도 적지 않은데 흉터는 거의 남지 않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너무 작은 병변은 따기가 어렵고 또 잠복기에 들어가 있던 병변이 뒤늦게 나타나기도 하므로 1개월 정도 후에 추적 관찰하여 필요하다면 한 번 더 따주는 것이 가장 좋다.그 밖에도 액화 질소를 이용하여 얼리는 냉동치료나 바르는 약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개수가 그리 많지 않을 때나 고려할 수 있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치료법이다. 바르는 약의 경우 약값도 비싼 편이며 2~3개월 이상 발라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요즘 팔이 계속 저리는데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목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나타나기 쉽습니다.① 장시간 앉아 있으면서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② 눈이 나빠 눈을 찡그리며 목을 빼고 앞으로 보는 습관③ 사고 등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뼈나 관절에 손상이 생긴 경우④ 평발이거나 발에 맞지 않은 신발을 계속 신는 경우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⑥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목의 통증② 어깨, 팔, 손바닥, 손가락의 통증③ 감각 이상(만지면 전기가 오듯 저린 느낌, 둔한 느낌)④ 마비 증상(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놓침. 팔을 들어 올리기가 힘듦.)⑤ 눌리는 신경의 위치에 따라 통증의 위치도 변함.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보존적 요법1) 침상 안정침상 안정은 디스크의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높지 않은 베개를 선택하여 목덜미까지 베도록 합니다. 2) 약물 요법 3) 물리치료 4) 체중 조절 5) 운동 요법 : 근육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해 주면 좋습니다. (걷기, 체조, 수영 등) 6) 올바른 자세의자에 앉을 때 등을 구부리지 않고 양쪽 어깨를 펴고 바르게 앉습니다. 걸을 때는 목을 앞으로 숙이지 않고 어깨를 펴고 바르게 걷습니다. 7) 압통이 있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주사 2. 수술적 치료6주 이상의 적극적 보존적 치료(경구 약물, 신경 차단술 등)로도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근력 저하, 보행 장애, 대소변 장애 등 마비 증상이 진행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1) 신경 감압술2) 디스크 제거술3) 경추 유합술진료보시고 mri 필요여부 확인해보세요.시술이나 수술이 필요로 치료를 해야되는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