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원장입니다. 반갑습니다.

김승현 전문가
하남허리튼튼신경외과
안과
안과 이미지
Q.  안구건조증인데 인공눈물을 넣어도 바로 건조해지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안구 건조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노화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합니다. ② 동반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 눈 등 몸 전체 점막에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 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③ 만성 결막염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 세포들이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어서 눈물층 중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립니다. ④ 갑상선 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인해 눈이 커져서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눈물 생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⑤ 여성호르몬 감소갱년기 때 여성호르몬이 감소하여 눈물 생성이 줄어듭니다. ⑥ 약물 복용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과 같은 부교감신경 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 눈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때문에 눈물이 마를 수 있습니다. ⑦ 환경 요인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중에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 건조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⑧ 기타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각막의 예민성 감소, 과도한 눈물 증발, 눈꺼풀 문제(눈꺼풀 속말림, 눈꺼풀 겉말림, 눈꺼풀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① 인공 누액을 통한 눈물 공급안구 건조증의 가장 보편적인 치료 방법은 인공 누액을 이용하여 모자라는 눈물 성분을 공급해 주는 것입니다. 인공 누액을 항상 휴대하면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고 형태, 안약과 연고의 중간 정도인 묽은 젤리 형태 등 여러 종류의 점안액이 있으므로, 자신의 눈에 편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에는 IPL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눈꺼풀 청소눈꺼풀 청소는 눈물의 지방층을 회복시켜 눈물의 증발을 줄이고 안구 건조증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면봉에 깨끗한 식염수나 안과에서 처방받은 연고를 발라서, 속눈썹이 나오는 부위를 하루 2~3회 정도 닦아 줍니다. ③ 눈물점 폐쇄눈물이 배출되는 눈물점을 막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안구 건조증 정도에 따라 아래쪽 또는 위, 아래 모두를 막을 수도 있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막을 수도 있습니다. 눈물점을 제거할 수 있는 기구를 삽입할 수 있고, 전기로 소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약물 요법을 시행하면서 환경 요인에 신경 써야 합니다. 먼지가 많은 작업장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한 곳에는 가습기를 틀어서 공기를 습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장시간 독서나 운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자주 눈을 깜박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검염 등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이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여야 합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현재 저희 어머니가 어깨가아프시다고하셔서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근육/인대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정형외과 가셔서 영상검사 필요여부 확인후 진단 받고 치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 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1cm 정도 상처가 아물지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깊게 파였으면 봉합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일단 병원에 가셔서 진료 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친구가 코로나 걸렸는데 저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확진 되었다가, 해제되신 분은 3차 접종 필수는 아닙니다.증상이 있는지 계속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증상 있을 시 즉시 재검사 진행해주십시오우리가 할 수 있는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척추가 살짝 굽었는데, 바른 자세와 요가를 통해서 어느정도 재활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측만증으로 진단되었다고 무조건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에 앞서 치료를 꼭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측만증의 치료 방법에는 크게 “관찰(observation)”, “보조기 착용”, “수술적 치료”의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치료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세 가지 치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기 자극(electrical stimulation)”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효과가 없다고 입증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체조를 하는 “운동 치료(exercise)”는 척추를 유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는 측만증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닙니다. 교정 치료는 치료 효과가 객관적,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치료 방법입니다. 1. 치료 목표만곡이 크지 않은 환자(40도 미만)는 만곡이 더 커지는 것을 예방하고(보조기 치료), 만곡이 큰 환자(45-50도 이상)는 만곡을 작게 만들어 줍니다(수술적 치료). 이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환자의 외관(cosmesis)을 좋게 하고, 심폐 기능을 호전시키며, 요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환자나 부모님들이 원하는 치료 목표는 “옆으로 휜 척추를 곧게 만드는 것”입니다. 휘어진 척추를 원상태로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수술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쉽게 시도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아닙니다. 40도 미만의 만곡을 가진 환자에 대한 치료 목표는 “만곡이 점점 더 커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으로 합니다. 이를 위하여 보조기를 착용하기도 하고, 정기적으로 관찰을 하기도 합니다. 2. 관찰관찰(observation)은 36개월마다 환자를 정기적으로 추시(follow up) 하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측만증에서도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관찰만 한다고 환자를 “방치”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보통 2040도 사이의 만곡을 가지는 환자에 대해서는 만곡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보조기 치료를 시행합니다. 하지만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춘기의 여학생에게는 답답한 보조기 착용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20도 미만의 만곡에서는 보조기를 착용시키지 않고 관찰만 진행합니다. 이런 경우 만곡이 더 커지지만 않는다면 그냥 받아들여도 대부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관찰”과 “방치”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만약 관찰하는 과정에서 각도가 커지면 보조기 또는 수술적 치료로 전환할 것입니다. 관찰에 대해서는 성장 과정에 있는 환자와 성장이 끝난 환자의 두 부류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① 성장 과정에 있는 환자에서 20도 미만의 만곡 : 정기적으로 진찰하면서 만곡이 더 이상 커지지 않는지를 지켜봅니다.② 성장이 끝난 환자에서 40도 미만의 만곡 : 보조기 치료의 대상도 되지 않고 수술의 대상도 되지 않습니다. 관찰 과정에서 각도가 40도 이상으로 커지면 수술을 고려합니다. 관찰 과정에서 자세, 음식, 운동 등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측만증의 발생과 진행은 이러한 것들과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다만 평소에 수영이나 척추 체조를 통하여 척추의 유연성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측만증의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곡이 아주 크지만 않다면 환자는 대부분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습니다. 측만증은 2세에게 유전되는 유전병도 아니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측만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첫째, 특정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아 관찰하거나, 둘째, 환자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치료 받지 못하고 방치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척추측만증의 치료가 필요할 만큼 만곡의 각도가 큰 경우에(특히 60~80도 이상의 큰 만곡을 가진 경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① 심폐 기능의 장해② 나이 들어서 생기는 허리 통증③ 정신적인 문제④ 만곡이 점점 더 커지는 문제 1. 심폐 기능의 장해특발성 측만증 환자에게 심폐 기능의 장해는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심폐 기능의 장해를 동반하는 척추측만증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① 흉부 만곡이 90도 이상인 경우② 5세 이전에 심한 측만증이 나타나는 경우③ 흉추부의 정상적인 후만곡이 감소되거나, 오히려 전만곡이 되는 경우 이처럼 일반적인 특발성 측만증과 심폐 기능의 장해는 거의 무관합니다. 따라서 부모님들은 그다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나이 들어서 생기는 허리 통증척추측만증과 허리 통증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측만증으로 진단받은 학생에게 '지금 당장 측만증 때문에 허리 통증이 생길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면 그렇지 않다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측만증으로 진단을 받은 학생에게 '수십 년 후 중년이 된 이후에 허리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가?'라는 질문을 하면 측만증이 없는 중년에 비해서 허리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2배 정도 높다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측만증이 생긴 부위가 흉부 만곡이라면 늑골과 한쪽 어깨가 튀어나와서 외관상으로는 요부 만곡보다 보기 싫지만, 허리 통증이 생길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이에 반해서 요부 만곡은 외관상 잘 드러나지 않지만, 장차 허리 통증이 생길 가능성이 흉부 만곡 환자보다 훨씬 높습니다. 3. 정신적인 문제측만증 환자는 대부분 감수성이 예민한 10대의 여학생이기 때문에 척추가 휘어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큰 고민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형의 문제로 인해서 자신감과 의욕을 잃게 되고 부모님들 또한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4. 만곡이 점점 더 커지는 문제측만증의 진행은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측만증의 진행에 관한 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성장기에는 측만증이 계속 커질 수 있다.② 성장이 끝나면 측만증이 커질 가능성이 훨씬 낮아진다.③ 성장이 가장 빠른 시기에 측만증이 커질 위험성이 가장 크다.④ 각도가 큰 만곡일수록 잘 진행되는 반면에, 각도가 작은 만곡은 진행 위험성이 적다. 이처럼 측만증의 진행에는 앞에 기술한 세 가지의 성장과 관련된 요소(성장 요소)와 마지막 한 가지인 만곡과 관련된 요소(만곡 요소)가 관여합니다. 5. 척추측만증과 성장성장 요소에 의한 측만증의 진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성장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나이② 2차 성징(성기, 겨드랑이, 성기 주변 체모의 발육, 여학생의 경우 유방의 발달, 생리 시작)③ X-ray 검사상 손목, 골반뼈, 척추뼈의 골연령 등이 있습니다. 나이가 많거나 이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고 골연령이 높다면, 남아 있는 성장 기간이 짧기 때문에 측만증이 진행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나이가 어리거나 이차 성징이 늦게 나타나고 골연령이 낮다면, 남아 있는 성장 기간이 길기 때문에 측만증이 진행할 가능성이 큽니다.만곡 요소에 의한 측만증의 진행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만곡의 크기와 주만곡 및 구조적 만곡의 위치 및 개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현재 크기가 큰 만곡이 진행의 가능성이 크고, 이중 만곡이 단일 만곡보다 진행 가능성이 큽니다.이처럼 성장 요소와 만곡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향후 만곡의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만곡의 크기가 크고 이중 만곡이며 성장이 많이 남아 있다면 측만증의 진행 가능성이 크므로 보다 적극적인 치료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만곡의 크기가 작고 성장이 거의 끝났다면 진행하지 않을 것이므로 별다른 치료 없이 관찰해도 될 것입니다.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장이 끝난 후에도 적지 않은 환자에서 (전체 환자의 약 70%) 만곡이 1년에 1~2도씩 계속 커진다고 합니다. 특히 흉부 만곡이 50도 이상이거나, 요부 만곡이 30도 이상인 경우 만곡은 계속 커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만곡이 이 범위에 들 정도로 크다면 성장이 다 끝났다고 하더라도 조속한 시일 내 보다 적극적인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김승현 의사 드림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