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뇌전증(간질)이 발작이 온 사람을 본후 어떻게 대처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경련시 대처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항경련제를 투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경련 중에 이를 인위적으로 멈출 수는 없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응급 대처는 경련을 하는 동안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의식 소실과 함께 넘어지면서 다치지 않도록천천히 바닥에 눕히며, 주변에 부딪힐 만한물건과 기계에서 멀리 있도록 합니다.경련 중 혀를 깨물지 못하도록 도와주시고,침이나 구토물이 흡인되어 기도를 막지 않도록고개를 옆으로 돌려 입 밖으로 흘러나오게 합니다.단, 절대로 손가락을 입 안으로 넣어서는 안됩니다.호흡을 방해할 수 있는 넥타이, 벨트, 조이는 옷을느슨하게 풀어주시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경련 중 또는 경련 후 의식이 없는데 물을 끼얹거나,물이나 약을 먹이시는 것은 흡인의 위험이 있으며,손을 따거나 사지를 주물러도 경련을 멈추지는 않습니다.경련이 짧은 시간에 멈추면 가장 좋겠지만,수분 이상 지속되거나 여러 번 반복될 경우에는119에 연락 및 응급실로 이송하는 것이 안전합니다.현실적으로 준비하기 어려울 수는 있겠지만,경련 중에 산소 공급이 가능하면 도움이 됩니다.감사합니다.
Q. 공복 혈당 정상수치는 얼마가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공복 혈당의 정상 범위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공복 혈당은 100mg/dL 미만이 정상 범위이고,100-125mg/dL 를 공복혈당장애(당뇨병 전단계),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의 위험이 있습니다.공복 혈당이 정상과 공복혈당장애의 범위에 있으므로의료진의 진료 후 당화혈색소 등의 평가를 비롯해추후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평소 식이 조절 및 운동, 적정 체중 유지 등의생활습관의 노력이 중요합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성조숙증 검사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아이의 성조숙증에 대해 걱정이신 듯 합니다.여아가 만 8세 이전에 이차성징이 시작되면성조숙증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가 필요합니다.일반적으로 가슴의 멍울(유방 발달)로 시작되지만,사람에 따라 급격한 성장, 피지선 증가(두피 냄새),음모, 식욕의 증가 등의 변화로 알아차리기도 합니다.임상적으로 사춘기 변화가 동반되었는지,최근에 키 성장이 빨랐는지 등을 확인하고,성장판 및 호르몬 검사 등을 진행하기도 합니다.의심되는 소견이 보이거나 염려가 되실 경우에는성장 및 성조숙증 진료가 가능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대학병원은 소아내분비 의료진의 진료를 권장 드립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