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최영곤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차를 탈 때 멀미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멀미는 귀의 반고리관이라는 기관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이 기관은 몸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데, 자동차나 배를 타서 몸이 많이 흔들리면 이 기관이 과하게 자극되어 멀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멀미를 아예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안타깝지만 없으며 예방약을 복용하거나 귀 밑에 붙이는 패치가 있으며, 창문을 열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보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담배가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흡연을 장기간 하면 폐쇄성 폐질환, 폐암 등 폐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금연을 하는 경우, 더 이상 나빠지지 않는 것이지 다시 폐기능이 회복되지는 않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금연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혼자만의 힘으로 금연이 어렵다면 의학적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니코틴 패치 및 복용하는 약물 등 다양한 금연보조제가 있습니다. 보건소의 금연클리닉에서 상담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내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당뇨검사전 혈당을 측정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현재 정확한 당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공복혈당, 뭔가를 드신다면 드신 후 2시간이 지난 시점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목 통증이 있으면 두통도 있는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목에 통증이 있으면 근육이 긴장하면서 긴장성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 뒤에 따뜻한 수건을 두고 편안한 자세로 몸을 이완시키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손목이 너무 아파요. 어떻게 해야하죠?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면서 손목에 통증이 유발된다면, 터널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가장 좋은 것은 컴퓨터 작업을 줄이는 것이지만 정황 상 불가능하시다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 내원하여 상담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 필요에 따라 주사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을 겁니다.
내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위장 질환이 허리통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일반적인 변비나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는 허리에 통증이 유발되지는 않습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내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의료용어 인지 대사증후군 이란 의미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대사증후군은 아래 기준 중 세 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허리둘레 :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중성지방 : 150mg/dL 이상고밀도 콜레스테롤 :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혈압 : 130/85 mmHg 이상, 혹은 고혈압약 투약 중공복 혈당 : 100mg/L 이상, 혹은 혈당조절약 투약 중
내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당료 전단계라 알고있는데 약을 먹어야되는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당뇨전단계의 경우, 당뇨약 복용이 필요한 단계는 아닙니다. 때문에 생활습관을 개선하면서 추적관찰을 하시면 되는 상태이며, 체중조절 및 탄수화물과 단순당(과자, 초콜릿, 사탕)의 섭취를 줄이는 식으로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과일을 많이 드시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저희 어머니께서 폐경기가 왔는데 완화할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폐경기로 인한 불편증상이 심한 경우 호르몬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상담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내과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죽을 때까지 약을 먹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고혈압이 한 번 발병을 하면,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매우 드물게 유산소 운동 및 체중조절을 하여 혈압을 정상범위로 만들어 약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드렸듯이 매우 드뭅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