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려시대 무신 양규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규는 고려 전기 형부낭중, 도순검사, 공부상서 등을 역임한 무신 입니다.목종 때 형부낭중이 되며, 1010년 거란의 성종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흥화진을 포위하자 도순검사가 되어 진사 정성과 부사 이수화, 판관 장호 등과 더불어 성을 굳게 지키며 완강히 저항하고 항복 권유를 물리쳤습니다.이에 거란군은 포위를 풀고 통주에서 강조가 이끄는 고려의 주력부대를 격파한 뒤 남진, 거란군은 이때 사로잡은 노전을 흥화진에 보내 항복을 권하나 오히려 노전을 사로잡고 성을 굳게 지킵니다. 그 뒤 군사 700여 명을 거느리고 흥화진을 출발해 통주에서 강조의 부하였던 병사 1000여 명을 수습해 곽주에 머무르고 있던 거란병 6000여 명을 공격해 성을 탈환하고 성 안에 있던 남녀 7000여 명을 통주로 옮기게 됩니다.1011년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이 나주까지 피란 갔으나 거란군과 철병교섭이 성공해 거란군이 물러가게 되었고 이에 양규는 구주방면으로 돌아가는 거란군을 지키고 있다가 무로대에서 2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되었던 남녀 2000여 명을 탈환, 석령에 이르러 다시 25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합니다.여리참에서 싸워 1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 다시 거란의 선봉과 애전에 싸워 1000여 명을 베었으며 이때 거란의 군사가 갑자기 몰려와 구주별장 김숙흥과 더불어 싸우나 남은 군사가 얼마 되지 않고 화살이 떨어져 진중에서 전사합니다.그는 고군으로 한달 사이에 7차례 싸워 적을 6500명을 베고 포로가 된 백성 3만여명을 구했으며 낙타, 말, 병장기 등 노획물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획득하는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Q. 가발은 조선시대에도 있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가발과 비슷한 가체 라는 것이 있었습니다.이는 여성들이 치장을 위해 가발을 머리위에 얹은 것입니다.가체는 대부분 남자 머리카락으로 제작되었는데 당시 남자들이 머리를 자라 팔았다고 하는데 특정 지역 남자들이 몇 년간 잘관리해 길렀다가 팔았습니다.또한 인모와 함께 당주홍, 홍합사, 송진, 진사, 주사, 마사, 홍향사, 연지, 소금, 참기름 등을 써 다양한 성분분말로 만든 용액에 수거한 머리칼을 담가 곧게 펴고 탈색했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 민족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는 우리 민족을 한민족이라 하며 이때 한은 우리나라를 표현하는 한자로 대한민국, 한반도 등의 한 과 같습니다.우리 민족은 아주 오래전부터 한반도에 살기 시작하며 우리만의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형성 했습니다.한민족 역사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세운 나라는 고조선, 부여이며 고조선은 요동을 중심으로 삼아 중국 전국시대에 전국칠웅들과 마찬가지로 왕을 칭할 정도로 강성했으나 연나라의 침입으로 큰 타격을 입고 한반도 북부로 밀려났고, 후에 한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합니다.부여는 고조선 유민들을 받아들이고 고조선이 멸망한 뒤에도 한나라와 좋은 관계를 맺으며 융성하나 부여에서 유래한 이주민과 압록강 유역의 토착민이 합쳐진 고구려가 발흘해 밀려나기 시작, 선비족의 대대적인 침략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맥 계통의 고구려는 예 계통인 부여인의 일파가 압록강 유역의 토착국인 졸본부여에서 정착하며 시작, 고구려는 또 다른 맥 계통의 소국들과 예 계통의 소국들, 빈사상태였던 부여 등을 흡수하면서 한반도 북부로 진출해 고조선인과 마한인, 잔존한 한사군의 소수 한족들을 통합, 흡수해 고구려인이라는 정체성을 이루게 됩니다.
Q. 우리가 흔히 아는 아리랑은 신아리랑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민요사에서 1920~1930년대 걸쳐 독특한 형태의 노래가 유행하는데 기존에 불리던 전통적인 민요와 다르다는 측면에서 새롭다고 하여 신민요라는 명칭이 붙었고, 대중에게 친숙한 전통 민요를 시대적 상황에 맞게 응용한 새로운 민요풍의 유행가 형태가 등장, 이러한 변화는 아리랑에도 일어나 신민요 아리랑이라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 1930년 신아리랑 이라는 곡목이 출현하게 됩니다.가사를 보면 구아리랑과는 다른 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아리랑 아리랑 아라아요 아리랑 고개로 널 넘겨주소밭은 헐어서 길이 되고 집은 헐어서 정거장 되네아리랑 고개는 두두 고갠데 우리네 보리고개 몇몇이드냐생활에 쪼들려 넘는 고개는 북간도 가는 손들 눈물의 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