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거란 2차침입때 활약한 양규 장군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전기 형부낭중, 도순검사, 공부상서 등을 역임한 무신입니다.목종 때 형부낭중이 되며 1010년 거란의 성종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흥화진을 포위하자 도순검사가 되어 진사 정성 과 부사 이수화, 판관 장호 등과 더불어 성을 지키며 저항, 항복 권유를 물리쳤습니다.이에 거란군은 포위를 풀고 통주에서 강조가 이끄는 고려의 주력 부대를 격파 후 남진, 거란군은 이때 사로잡은 노전을 흥화진에 보내 항복을 권했으나 오히려 노전을 사로잡고 성을 지켰습니다. 그 뒤 군사 700여 명을 거느리고 흥화진을 출발해 통주에서 강조의 부하였던 병사 1000여명을 수습해 곽주에 머무르고 있던 거란병 6000여 명을 공격, 성을 탈환하고 성 안에 있던 남녀 7000여 명을 통주로 옮겼습니다.1011년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이 나주까지 피란 가나 거란군의 철병교섭이 성공해 거란군이 물러갔고, 이에 양규는 구주방면으로 돌아가는 거란군을 지키고 있다가 무로대에서 2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되었던 남녀 2000여 명을 탈환, 석령에 이르러 다시 25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했습니다.여리참에서 싸워 1000여 명을 베고 포로가 된 1000여 명을 탈환, 다시 거란의 선봉과 애전에서 싸워 1000여 명을 베었으며 이때 거란의 군사가 갑자기 몰려와 구주별장 김숙흥과 더불어 싸웠으나 남은 군사가 얼마 되지 않고 화살이 떨어져 진중에서 전사, 양규는 고군으로 한달 사이 7차례 싸워 적을 6500명 베고 포로가 된 백성 3만여명을 구했으며 낙타, 말, 병장기 등 노획물을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획득하는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Q. 베트남 전쟁이 일어난 역사적 배경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트남 마지막 왕조였던 응우옌 왕조는 쩐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울 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당시 프랑스는 인도 식미닞 각축에서 영국에게 패한 뒤 베트남으로 눈을 돌렸으나 미국 독립 전쟁으로 비롯된 경제 위기로 당장에 식민지화 정책을 펴지 못했고 소극적인 통상과 로마 가톨릭 교회 선교사 파견에만 그치게 됩니다.응우옌 왕조는 새 왕조를 세운 뒤 배외 정책을 펼쳤고 2대 황제였던 민망에 이르러 로마 가톨릭의 선교를 금지하고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 프랑스는 이를 빌미로 인도차이나 반도를 식민지로 만들기 시작, 1843년 프랑스의 외무장관 프랑수아 기조는 장바티스트 세실 제독과 레오나르 샤르네르 대령의 지휘 하에 베트남에 함대를 파병, 프랑스는 코친차이나를 할양받은 이후 차츰 식민지를 확대해 1887년 베트남과 캄보디아, 라오스를 병합한 식민지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설립,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까지 계속됩니다.응우옌 왕조가 무너진 뒤 베트남에서는 지속적인 독립운동이 있었고 1885년 관군이 프랑스군에게 패하자 응우옌 왕조의 관원이었던 쯔엉딘은 의병을 일으켜 싸웁니다. 그는 수차례 프랑스군에게 승리를 거두나, 결국 수세에 몰려 자결, 무장투쟁이 실패로 돌아간 뒤 문신들에 의한 근왕운동이 있었고, 근왕운동 실패 후 판보이쩌우와 같은 민족주의자들이 항불 독립운동을 지속합니다.2차 대전이 일어나자 프랑스는 자국의 방어를 위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있던 군대를 송환, 이 공백기를 틈타 일본군이 베트남을 점령합니다.1930년 호찌민이 결성한 베트남 공산당과 1941년 결성된 비엣민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독립을 위해 무장투쟁을 하고 있었고, 2차 대전기간 일본 제국의 점령군과 싸웠습니다.2차 대전기간동안 호찌민은 비엣민에 대한 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 정부와 미국의 승인을 얻었고 미국의 전략사무국은 일본에 대항하는 비엣민을 지원하나 1945년 프랑스 측이 비엣민이 공산주의 조직이라 문제를 제기하자 지원을 중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