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풍산노숙은 무슨 뜻인가요? 풍산노숙하며 여기까지 온 나를 문전박대하다니 언젠가 반드시 후회할 날이 있울것이요 여기서 풍찬노숙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풍찬노숙은 바람에 불리며 먹고 이슬을 맞으며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고생하는 삶을 풍자적이고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절치부심은 무슨 뜻인가요? 그에게는 아버지 풀지 못한 한을 가슴에 묻고 준비해온 절치부심 세월이었을지도 모른다 여기서 절치부심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몹시 분하여 마음이 쓰린 것을 의미하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의 경호부대 겸사복 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태종 9년 처음 만들어진 조선 시대 최대의 정예 기병 중심의 친위군 으로 금군청의 한 부대 입니다.기원은 고려의 상승승지에 기원을 둔 내사복시 제도에서 비롯되며 이후 세조 10년 정비된 조직을 갖추었고 주 임무는 임금의 신변 보호 및 왕궁 호위, 친위병의 양성이었으나 이외에 정기, 부정기적인 군대의 교열과 연재에 참석해 합격해야 했습니다.그 서용은 내금위의 기취례에 따라 서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실제 그 임용에서 가장 중요시된것은 무재였고, 그 다음이 친위병의 위상을 놏이기 위해 용모, 학식, 신장 등을 보는데 그 자격요건은 대체로 양반으로부터 천민, 귀화인에 이르기까지 폭넓었습니다.또 임금의 친위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임금의 신임 여하에 따라 수시로 임명되기도 했으며 종 2품의 겸사복장의 지휘를 받고, 정원은 50인으로 근무 일수 1백 80일 장번으로 오랫동안 교대 없이 근무, 정 3품으로부터 2종 9품까지의 체아직으로 제수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술은 대체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술의 기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가 사냥과 채집으로 생활하던 구석기 시대 과실주는 있었습니다. 과실은 조금이라도 상처가 나면 과즙이 스며 나오고 과실 껍질에 붙어 있는 천연효모가 쉽게 번식해 술이 되는데 , 보름달 아래 원숭이들이 바위나 나무둥지의 오목한 곳에 잘 익은 산포도를 넣어두고 그 위에서 뛰놀다 다음 달 보름날에 다시 찾아와 술을 마시며 논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를 보아 선사시대에 술을 빚던 방식을 알수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경세제민은 무슨 뜻인가요? 현재 대한민국의 문제는 사심없이 경세제민하는 리더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여기서 경세제민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상을 잘 다스려 백성을 구한다는 뜻으로 국정이 혼란하지 않고 민생이 편안한 상태를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종횡무진은 무슨 뜻인가요? 날치기범들이 강남일대를 종황무진하며 잇따라 범행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여기서 종횡무진은 어떤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횡무진은 사방으로 거칠 것이 없이 나아가는 자유로운 모습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자유자재로 거침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재미 놀이의 유래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재미는 오자미라고도 하며 일제 강점기 운동회 등이 실시되면서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 중 하나입니다.즉 오자미는 콩이나 모래를 집어넣은 놀이 주머니를 뜻하는 일본어 오자미가 기원으로 , 일제 강점기 학교 운동회가 실시되면서 함께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유신이 말 목 자른것은 실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 목 자른 김유신의 이야기는 고려시대의 문인 이인로의 파한집에 실려있는 사실관계는 밝혀지지 않은 일화 입니다.화랑이던 김유신은 어느날 친구 모가대, 우기나와 함께 다니다 기녀인 천관녀를 만나 사랑해 그녀와 교제, 어느 날 어머니 만명부인이 그 꼴을 보고 나는 이제 늙었다. 네가 커서 장차 나라에 큰일을 하여 왕과 부모에게 기쁨을 안겨줄 날을 밤낮으로 고대해왔는데 어찌 너는 술과 여자나 쫓아다니느냐 라고 울며 말했고, 아예 출가하라는 선언까지 떨어지자 김유신은 울며 자신의 행동을 부끄러워해 천관에 대한 그리움을 참고 다시 그 집에 들르지 않을 것을 맹세합니다.그러다 어느날 술에 취해 잠이 든 상태로 집에 돌아가던 중, 말이 평소 길 가던 버릇대로 그녀의 집 앞에 멈춰서자 천관이 즉지 살려나와 영접했는데 정신을 차린 김유신은 상황을 깨닫고 천관에 대한 마음을 눌러참고 네가 어찌 주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이리 하였느냐며 말의 목을 베고 그대로 떠났다고 하는 이야기로 말에게 책임을 전가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지 책은 정말 유명한 것 같습니다. 이 삼국지는 실제를 기반으로 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지는 중국의 2세기 말~ 3세기 말의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서 정사 삼국지, 역사소설 삼국지연의를 말합니다.진수가 쓴 역사서 정사 삼국지와 나관중이 쓴 역사소설 삼국지연의로, 이 둘은 이야기의 큰 줄기는 같으나 세세한 부분은 다르며, 중국의 서기 184년 후한의 쇠퇴와 황건적의 난으로 인한 군웅할거 시대부터 사마염이 건국한 서진이 중국을 통일한 280년까지 있는 역사서를 다룬책이 정사 삼국지 입니다.정사는 말 그대로 정확한 사실의 역사 기록을 의미하므로 정사 삼국지는 사실을 기반한 기록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진왜랑 당시 왜군이 사용한 조총은 어떤 방식이 총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무렵인 16세기 일본 뿐 아니라 전 세계를 통틀어 조총을 비롯한 총기들은 총알을 장전하는데 그 속도가 매우 느려 아무리 숙련된 사수라 해도 1분에 2발 정도 발사 했습니다.또, 연기가 많이 나오는 흑색 화약을 사용했기 때문에 몇번 총을 쏘고나면 뿌연 연기가 잔뜩 발생해 앞이 보이지 않았고 총을 쏠 때마다 총기 안에 화약 찌꺼기가 쌓여 총기 안을 청소하지 않으면 총을 쏠 수 없었습니다.또한 당시 조총은 심지에 불을 붙여 총알이 발사되는 구조로, 비나 눈이 오면 습기에 심지가 젖어 총이 발사되지 않았습니다.임진왜란 와중에 의병으로 활동안 조경남이 쓴 문헌인 난중잡록을 보ㅕㄴ 1592년 5월 8일 한양에 주둔 중인 일본군을 염탐했더니 조총에 들어가는 총알을 가진 자는 4~5 명 겨우 1명이고 그나마 1명이 가진 조총의 개수도 15~16알에 불과하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6116126136146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