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의 아편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세기 영국은 청나라에 모직물과 면화를 수출하고 청나라로부터 홍차, 비단, 도자기 등을 수입하는데 특히 홍차를 많이 사갔습니다.청나라는 은을 받고 홍차를 팔아 엄청난 양의 영국 은이 청나라로 유입,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당시 청나라는 영국과의 무역을 제한했는데 광저우 항구만 열고 공행과만 거래할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국은 청나라와 무역에서 계속 손해를 보자 청나라에 물건을 팔 수있는 지역을 넓혀달라 하나 청나라는 이를 거절, 이에 영국은 무역으로 인한 손해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청나라가 약으로 쓰려고 아편을 수입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 그 뒤 영국은 청나라 정부 몰래 청나라 시장에 아편을 팔기 시작합니다.영국에서 아편이 밀수입되자 청나라에는 아편 중독자들이 늘게 되고 , 영국은 아편 수출로 많은 돈을 벌게 됩니다. 이에 청나라는 아편을 들여오는 것을 금하고 광저우에 임칙서를 보내는데, 임칙서는 광저우에 있는 영국 상인들로부터 아편을 빼앗아 불태우고, 이에 영국은 이 일을 빌미로 1804년 6월 청나라를 공격합니다.결국 1842년 8월 청나라는 영국에 항복하고 난징 조약을 체결, 난징 조약으로 영국은 다섯개의 청나라 항구에서 자유롭게 무역을 할수 있게 되고 홍콩 섬의 지배권을 얻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영국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불평등 조약이었습니다.1차 아편전쟁으로 영국은 큰 이익을 보지 못했고, 이에 영국은 청나라에게 아편 무역을 합법화하고 북쪽의 대도시를 개방하라 하나 청나라는 이를 거절, 마침 애로호 사건이 일어나게 됩니다.1856년 10월 8일 청나라 광저우의 한 관리가 영국 배인 애로호에 올라 청나라 범죄자들을 체포, 영국은 체포과정에서 청나라 관리가 영국 국기를 강제로 내리게 했다며 청나라에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 청나라는 이를 거절하자 이것을 구실로 또 다시 전쟁을 일으킵니다.
Q. 몽골은 막내에게 상속하는것이 전통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목민 사회에서는 아들이 성인이 되어 부모로부터 가축이나 노비 등을 일정수 분배받아 독립하는데 막내아들은 마지막까지 부모 슬하에서 독립하지 않고, 부모가 죽은 뒤 부모가 직접 남겨준 재산을 그대로 상속받았으므로 말자상속 풍습이 생기게 됩니다.몽골인은 부모의 유산을 상속받은 막내아들을 불과 유르트의 주인을 의미하는 옷치긴으로 불렀고, 집안의 신성한 화로의 불씨를 지키고 이어가는 자였기 때문에 이렇게 불렀습니다.즉 몽골의 경우 목지 이용이 자유로웠기 때문에 말자상속은 원칙적으로 적용되었으나, 일부는 더 장자가 더 많은 재산을 물려받기도 했습니다.
Q. 역사드라마보면 과거에합격하면 공무원이 되던데 지금으로치면 몇급수준이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 9품의 문관은 지자체 서기보 정도의 9급, 무관의 경우 군인,경찰 중 하사, 순경으로 9급 , 정9품의 문관은 지자체 서기로 8급, 무관은 군인, 경찰 중 상사, 중사, 경장 으로 8급 정도에 해당됩니다.
Q. 조선시대에도 마차가 도입되었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마차가 쇠퇴하고 대신 소가 끄는 달구지로 화물을 운송하거나 강과 바다를 통해 화물을 나르게 되는데 이유는 말 부족때문입니다.고려말기 왜구가 한반도를 초토화하면서 목장들도 큰 타격을 입으면서 말이 부족해지기 시작, 이를 타파하고자 조선은 여진족을 통해 말을 지속적으로 수입하면서 양마장을 전국에 설치해 말을 늘리고자 하나 평야가 적고 산지가 많은데다 가축을 위협하는 호랑이, 늑대, 표범 등 맹수가 많은 한반도 특성상 말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또한 인구가 증가하는 것도 이유였는데, 말을 역축으로 부리려면 초원지대처럼 풀이 풍부한 곳이 아니면 건초에 곡물도 먹이는게 필수인데, 성인 1명분의 곡물만 먹여도 되는 소와 달리 말은 성인 3명분의 곡물을 먹여야합니다. 양란 이후 인구가 늘면서 목장을 둔전이나 농장으로 바꾸고 화전까지 성행한 조선 후기 말을 더 늘리기 힘들었고, 말 자체가 부족하니 마차를 많이 쓰기 어려웠습니다.
Q. 나플레옹 도량형 통일에 관해서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량형 통일은 물체에 길이, 부피, 무게 등을 측정하는 자, 저울 , 계량기 등의 도구 또는 측정에 단위로서 어디서나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1791년 도량형위원회가 구성, 지금까지 쓰이는 미터법을 1795년 제정했는데 지구 자오선의 4000만분의 1을 1미터로 삼았고 물 1000세제곱미터가 섭씨 4도일 때 무게를 1킬로그램으로 잡았으며 부피를 재는 리터, 질량에 쓰는 그램, 길이의 단위 미처, 넓이에 쓰는 아르 등으로 구성된 새 도량형은 1800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