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문학
문학 이미지
Q.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외롭게 지내는 상태를 가리키는 '낙동강 오리알'이라는 말은 어떻게 생긴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낙동강 오리알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는데,-낙동강 갈대숲 둥지의 오리알이 장마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떠내려 가는 모습에서 따온 관용구라는 일반적인 설로, 실제 낙동강 하구는 남한 지역에서 가장 삼각주 지형이 발달해 철새 도래지로 유명할 정도로 새가 많기 때문에 새알이 떠내려가는 장면도 가끔 있을법한 상황입니다.-낙동강은 철새인 오리가 많이 날아드는 곳이라 오리알이 많은데 오리알은 기름기가 많아 비린내만 나고 맛이 없어 사람이나 짐승들이 거들떠보지 않았고 이에 낙동강 주면에 여러 오리알들이 그냥 방치되었습니다. 혹 철이 바뀌어 산란지로 이동해 낳았어야 할 알을 제때 이동하지 못해 낙오한 오리가 낙동강에 낳고 떠나버렸기 때문에 제대로 부화되고 클 여력이 없이 버려졌기때문에 벼려져 소외되고 처량한 모습을 비유해 낙동강 오리알 이라는 말이 생겼다는 설- 6.25전쟁 당시의 격전지였던 낙동강 전선의 상황이 유래라는 설로, 낙동강 남측에 한국군이 기관총과 박격포를 쏴대면 인민군이 거기 맞고 하나하나 낙동강 물속으로 빠져들어가는 상황이 계속되었고, 이를 보며 병사들을 독려하던 12연대 11중대장 강영걸 대위가 '낙동강에 오리알이 떨어진다!' 라고 했다고 합니다.- 인민군과 한국군이 낙동강에서 고착상태에 있던 도중 지원으로 미군의 폭격기가 폭격을 시작했고 이때 강영걸 대위가 폭격기에서 폭탄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야! 낙동강에 오리알이 떨어진다! ' 라고 한게 낙동강 오리알의 유래라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장원급제를 위해 출제된 문제들은 어떤 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이 직접 나와서 문제를 내는 전시에서는 대과 복시 합격자들이 대책에 대해 써 올렸는데 이는 현실의 정책이나 문제되는 사안에 대한 국왕의 질문에 답하는 것으로인재를 등용하고 양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라, 명나라와의 외교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사람을 사신으로 선발해야 하는지 논하라 등의 문제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약과는 약으로 먹는 과자라는 데 약과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국교로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이의 영향으로 육식을 멀리하게 되었고 제사상에도 어육을 올리는 것을 금해, 어육을 대신해 과자를 올리게 되었고 이 때문에 과자 문화가 매우 잘 발달했습니다. 즉 고려시대 고기와 생선을 올리지 않는 불교의 제례에서 약과가 그 대체품으로 이용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토피아라는 말은 누가 언제 처음 만든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의 소설 유토피아에서 유래된 것으로, 1516년 라틴어로 쓰인 소설의 제목이자 소설 내 등장하는 가상의 섬 나라 이름입니다.유토피아는 경제는 공산주의, 정치는 민주주의 체계를 지니면서도 교육과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이상적인 나라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뭉크의 절규 그림에 나온 붉은 하늘이 화산과 관련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절규는 뭉크가 자주 방문했던 에쉴렌 화산이라는 지역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에쉴렌 화산은 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산 국립 공원에 위치한 화산입니다.뭉크가 자연의 아름다움과 동시에 고립된 곳에서의 고독과 불안을 경험해 작품을 창작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절규의 붉은 하늘은 노을아 아닌 화산 폭발의 결과로 나타난 붉은 빛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