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성계가 서북 지방을 차별했던 까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성계가 평안도 출신으로 평안도와 함께 활동한 인물들을 선호했던 것을 보아 이는 그의 출신 지역에 대한 애착, 평안도 출신들과의 관계 등으로 설명되며, 서북지방은 당시 비교적 개발이 덜 된 지역으로 여겨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이성계가 중앙집권 강화와 국가 안정을 위해 중앙 집중화 정책을 추구하였으므로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보였을 가능성, 서북 지방의 사회적인 특성이 이성계의 이상과 다를수 있는 것으로, 이성계는 불교를 중시하고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가치를 가지고있었는데 서북 지방의 사회적인 구조나 문화가 그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Q. 조선시대 제주도 도민들이 섬밖으로 함부로 나갈 수가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출륙 금지령 때문입니다.출륙 금지령은 제주도민들이 제주 섬을 떠나는 것을 금지한 정책입니다.15세기 조선 정부의 중앙 집권화가 안정기에 접어들며 제주에 대한 중앙 정치의 간섭도 강력해졌고 중앙 정부의 지나친 행정적, 경제적 간섭은 제주도민들을 유민으로 내몰았으며 제주 유민들은 전라도, 경상도 해안과 중국의 해랑도 지역까지 떠돌았습니다.당시 제주 유민들에게 특별한 명칭이 있었는데 한라산의 별칭인 두독야지, 두모악으로 불리기도 했고 혹은 주로 해산물을 채취해 생활한다 하여 포작인 등으로 불렸습니다.제주도민이 제주를 떠나야했던 원인으로는 중앙 관리와 지방 토호의 이중 수탈, 왜구의 빈번한 침입, 지나친 진상과 그에 따른 부역의 증대 등을 들수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주 유민의 수가 증가하고 제주 인구는 감소했습니다.조선 정부의 입장으로는 당시 제주는 지정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무시하지 못할 가치가 있었고, 일본과 중국을 잇는 거점 지역으로서 방위 전략상 중요했으며 명과의 말 무역에 있어 말의 생산지이자 제주 지역 특산물 또한 중요 자원이었습니다.제주도민들이 제주를 떠나 제주 인구가 감소되어 특산물의 진상, 군액 축소 등이 심각한 과제가 되었고 이에 1629년 8월 13일 조선 정부는 제주도민이 육지로 나가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을 실시했습니다.
Q. 우리나라 전통 가옥인 한옥은 언제 처음 도입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옥은 석기시대 막집 , 움집같은 수혈식 구조에서 시작되었고 역사 시대까지도 마한은 비슷한 형태의 주거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가야의 고상 가옥, 만주같은 북부에서는 구들이 사용된 원초적 한옥 구조들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삼국시대의 가옥은 평민들이 살던 곳은 단칸집이지만 여러 기둥을 세워 지은 비교적 넓은 현대인의 기준에서 한옥이라 부를만한 수준으로 발전, 고구려 같이 추운 북부는 구들이 이어져 내려오고 열 손실을 방지하지 위해 창문과 문을 좁게 튼 반면 남쪽에서는 보다 개방적인 형태를 가졌고 이 시기 중국에서 기와의 단청이 전래되어 왕궁같은 상류층의 가옥들은 오늘날 아는 기와로 된 가옥 형태에서 주거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