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늘도둑이 실제로 존재 했을까?
안녕하세요. 최재오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갑자기 소도둑이 될 수는 없지요. 그 바늘도둑은 소유에 대한 작은소유욕을 뜻합니다. 아동심리학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보면 해당시기에 갖춰야할 또는 해결하고 넘어가야할 문제들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 시기에 적절한 교육과 과정해결이 충족되지 않으면 여러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어떤이들은 식탐, 성욕, 물욕, 사회성 등등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소도둑은 물욕, 탐심으로 표출되었다고 볼 수 있죠. 어린성장과정 중에 아주 작은 심리적,정서적 문제가 바늘도둑이라는 불안심리의 첫시작이라 할 수 있겠네요.
Q. 피아노는 잘 치는지 못 치는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재오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음...잘치고 못치고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차이를 감안하여 생각해보면 절대평가로 기준을 정한다면 어떤수준이 평가의 기준이 되어 그 이하면 못치는거고 이상이면 잘 치는거겠지요. 하지만 사람사는 세상 아닙니까^^학교종이 땡땡땡을 친다해도 음악의 3요소 리듬,가락,화성이 잘 지켜져 연주했다면 질했다 할 수 있지요. 아이들을 가르칠 때 특히 한곡한곡을 해나가는 모습을 보며 잘쳤어, 잘했다 말해줄 때 아이들의 좋아하는 모습 그 해맑은 미소를 잊을수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