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번개가 생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적란운에서 발생합니다. 적란운 내에서 상층부와 하층부의 전위차가 생기면 번개가 발생하면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번쩍하는 번개가 생성됩니다. 추가적으로 발생한 번개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공기글 파열하게 되는데 이때 생기는 파열음이 천둥이라 볼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 물로 화재진압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에 붙은 불은 물로 제압하려 하면 더 큰 위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물이 열기에 의해서 수증기가 되고 유증기와 섞이면서 더 큰 화재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서 기름에 붙은 불은 물로 끄지 마시고, 주방용 소화기를 사용하시길 추천 드리며, 만약 없을 시 마요네즈를 뿌려서 산소를 차단시켜 주는게 안전하게 불을 제압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물리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어떻게 풍선에 불을 뿜으면 하늘로 올라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공기에 열을 가하게 되면은 열에너지에 의해서 공기의 분자구조가 변형을 일으킵니다. 그로 인해서 부피는 커지게 되고 밀도가 줄어들게 되며 무게가 가벼워 지게 됩니다. 가벼워진 무게로 인해서 상승하려는 힘을 가하게 되고 풍선의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는 기구를 공중으로 상승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종이를 아주 여러장 겹쳐놓고 총알을 발사하면 뚫지 못한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를 여러장 겹치게 된다면 한장이 가지는 강도에서 여러장이 겹쳐지는 수 만큼의 배수 만큼 강도가 커질 것입니다. 이런 강도가 총알이 돌진하는 힘보다 커지게 된다면 총알은 겹쳐진 종이를 뚫지 못하게 되는 것이겠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알지 못하겠지만, 장수가 쌓여지게 되면 고정된 총알의 힘보다는 강해지는 시점이 될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하루살이 곤충은 진짜 하루 사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하루살이의 수명은 하루만 살지는 않습니다. 보통 1에서 2년동안의 성장 과정을 가지고 성장 후, 하늘을 날게 되는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어떤 성충은 하늘을 날기 시작하고 얼마 지나서 죽는 경우도 있지만, 2일에서 3일정도 생존하는 경우도 있으며, 오래사는 경우 2주의 생존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름이 하루살이인 이유는 문학에서 자주 보여지는 표현인 짧은 인생에 비유하여 표현되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곤충으로 각인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일상생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위치에너지 사례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위치에너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중력에 의해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위치 에너지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는 엘리베이터를 들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카와 무게추를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무게추가 무거울 경우에는 카가 도르래 형식으로 위로 올라갈 수 있는데, 위치에너지에 의해서 작은 에너지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카에 승객이 많이 타게 되면은 아래로 내려갈 때 위치에너지를 사용하여 작은 전기에너지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바다와 우주 중 어떤 것을 모두 파악하는게 빠를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와 우주 모두 완전 탐구의 영역이 어느정도인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탐구를 할 수 있는 수치와 확률로 봐서는 바다는 우주에 비해서 언제든지 조사와 탐구가 가능한 재료가 확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주는 한번의 탐사에 많은 돈과 인력이 필요로 하지요. 그로 인해서 바다가 우주보다는 좀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테니 바다가 더 빨리 탐구가 가능할 것이라 추측합니다.
화학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기름과 물은 왜 안 섞이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극성분자는 극성분자끼리 뭉치려하고, 무극성분자는 무극성분자끼리 뭉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은 극성분자이고 기름은 무극성 분자이기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소금도 극성분자라서 참기름에 섞이지 않고 물에는 녹는것도 같은 원리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운전중 터널을 빠저 나오면 앞이잘 안보이는 이유가 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운전을 하면서 터널에 진입하게 되면 동공에 빛이 들어오는게 줄어들면서 동공은 확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터널을 빠져나가게 되면 다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따라서 동공이 축소하게 되는데 그때까지 눈은 순응시간이 필요하여 잘보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물리
2023년 5월 7일 작성 됨
Q.
자전거 용도에 따른 안장 높이 과학적 원리?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거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게 되는것은 무릎의 힘을 최소화하고, 허벅지의 힘을 최대로 사용하기 위해 조절합니다. 무릎을 거의 최대치 만큼 필수있도록 조절하게 되면 허벅지의 힘을 최대로 쓸수있게하여 무릎에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