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하늘의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 중의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응결점의 온도에 도달하게되면 응결작용을 하게되고 낮아진 기압에 의해서 하늘에서 뭉쳐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방울로 구성된 구름이 형성되게 됩니다.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일상생활 정전기를 방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전기 방지를 위해서 핸드크림을 바르고 만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수분기나 유분기는 정전기에 방전에 영향을 끼칩니다. 겨울보다 여름이 더 수분기가 많아 정전기가 적게 생기듯이 겨울에는 건조함에 의해서 수분기가 방전하지 못해 정전기가 더 많이 생기는 원리 입니다.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렌즈는 어떤원리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안구에 착용하여 시력 교정을 할 수 있는 렌즈는 1888년 스위스에서 최초로 출시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초의 렌즈는 유리재질로 만들어 져서 무게가 상당했기 때문에 착용성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1930년 플라스틱 재질로 된 렌즈를 제작하면서 현재 사용하는 비슷한 하이드로겔 재질의 착용성을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렌즈는 상이 망막에 맺히는 굴절률을 조정해서 망막의 앞쪽에 상이 맺히는걸 뒤로 보내주어 근시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력을 교정합니다.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시력이 나빠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시력이 나빠지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근시, 원시, 난시가 가장 흔한 작용인데, 각막의 형태나 눈 속의 수정체의 위치 등의 변형에 의해서 시야에 보이는 형태가 망막의 앞에 위치하게 되면 멀리있는 물체에 대해서 잘 볼 수 없게 됩니다. 원시는 나이가 듦에 따라서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고 근시에 반대로 망막의 뒷 쪽에 상이 맺히게 되어 가까운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런 원리로 어두운곳에서 책을 읽게 되면 눈의 과도한 긴장 상태로 인해 수정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근시현상을 작용할 수 있습니다.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영화에서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감전사 시키는 장면이 실제 가능한 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헤어드라이기도 220Vac를 사용하기 때문에 Load 선과 Nutural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물상에는 지락과 합선에 의해 과전류나 Over voltage가 발생할 시, 차단기가 트립되게 되어 있습니다. 실제 저런 현상이 발생한다면 건물측이나 2차측 차단기가 트립될 것이지만, 노후된 건물들의 경우 차단기가 트립되지 않는다는 전제하라면 감전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